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뉴스
"
칼리지
"(으)로 총 63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코패스 뇌는 처벌 인식 못해
2015.01.28
높은 이유를 밝히기 위해 이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촬영했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과 협력해 영국의 사이코패스 범죄자 12명과 일반 강력범죄자 20명, 그리고 일반인 1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실험에 앞서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그림 맞추기 게임을 하도록 한 뒤 제대로 맞출 ... ...
혼자보다 둘이 할 때 더 좋은 건? 금연과 다이어트
2015.01.25
배우자나 연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은 부부를 포함한 커플 3722쌍을 대상으로 금연과 운동 등을 함께 진행하면 성공률이 어떻게 달라지를 알아봤다. 금연의 경우 커플이 함께 시도했을 때 절반가량의 참가자가 성공했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가지각색인 것 같다. 1928년 영국 슬라우에서 태어난 피터 말러(Peter Marler)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런데 스코틀랜드의 숲을 조사하다가 되새의 지저귐이 지역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결국 나무에서 나무에 사는 새로 관심을 옮긴 말러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힉스 메커니즘에 관한 통찰을 얻게 되고, 이듬해 오랜 친구인 칼 헤이건이 임페리얼
칼리지
에 합류하면서 함께 논문 초고를 완성한다. 둘은 논문을 키블에게 보내 조언을 구했는데, 당시 우체국 파업으로 의견 교환이 지체되면서 결국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논문을 투고할 때(1964년 10월 12일), 키블 ... ...
66년 만의 오마주 ‘21세기 생명이란 무엇인가’
2014.12.14
인공 지능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SF 영화도 끊이지 않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컴퓨터 과학과 교수인 저자는 추상적인 담론에 앞서 인공 지능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를 덤덤하게 설명한다. 인공 지능의 연구 과정과 주요한 성과를 소개하면서 인공 지능이 어떤 원리와 접근법을 통해 ... ...
사람은 언제부터 술을 잘 마셨을까?
2014.12.02
수 있게 된 것은 약 1000만 년 전 부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인디애나주립대와 산타페
칼리지
공동연구팀은 사람과 침팬지, 마모셋원숭이, 붉은털원숭이 등 여러 영장류의 알코올 분해효소인 알코올디하이드로게나제4(ADH4)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현존하는 ADH4 효소는 원시 ADH4 효소에서 총 5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과학적 발견으로 피부를 더 자세히 이해하게 됐다는 것이다. 피오나 와트 영국 킹스
칼리지
박사는 이번 주 사이언스에서 “세포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피부에서 더 많은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또 그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나온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했다. 피부에서 세포생물학 연구가 ... ...
‘신이 내린 몸매’는 누가 만드나
2014.11.10
몸을 만드는 장내 미생물이 유전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넬대와 영국 킹스
칼리지
연구팀은 쌍둥이 416쌍의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마른 체형의 사람에서는 유독 ‘크리스텐시넬라 미누타(Christensenella minuta)’ 종이 많이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과체중인 사람에게서는 이 ... ...
“칼에 찔려 하반신 마비, 수술후 다시 걸어”…혁신적 치료법은?
동아일보
l
2014.10.21
비강에서 후각초성화 세포(OEC)를 떼 내 척수에 이식했다. 이 시술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신경학연구소의 조프리 라이스먼(Geoffrey Raisman) 박사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후각초성화 세포는 후각 시스템의 신경섬유가 계속해서 재생될 수 있는 경로 역할을 하는 세포다. 코의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 이달 6일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존 오키프(75)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교수가 수상 2주 만에 한국을 찾았다. 그는 20일 서울대에서 열린 기초과학연구원(IBS)-영국왕립학회 공동 콘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가 장소를 인지해 다른 장소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