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진"(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11
- 961-76).물리학상동물들이 어떤 색상을 선호하는지 연구한 헝가리,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연구진에게 돌아갔다. 헝가리 에오츠보스대 물리학연구소 바이오물리학과 가보르 호르바트 교수팀은 흰색 말에 소가죽파리가 가장 덜 꾀는 이유가 말의 털 색깔에 따라 햇빛이 다르게 편광돼 반사되기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11
- 달의 경우 토양(월면토)을 0.5m 두께로 쌓는 것이 GCR을 막는 데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미국 연구진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도 있다(doi:10.1016/j. radmeas.2009.01.010).화성은 아직 토양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다.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2012년 화성의 토양에 결정성 장석, 휘석, 감람석 등의 광물이 포함돼 ..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과학동아 l201610
-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책을 펼치지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MIT 미디어랩 바르막 헤쉬멧 연구원팀은 적외선과 라디오파 사이의 전자기파 영역인 ‘테라헤르츠 라디오파’를 이용했다. 서로 다른 화학물질은 저마다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10
- 세계 핵융합 학계가 30년간 풀지 못했던 난제에 대해 국내 과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박현거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와 윤건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자기장에서 생겨난 난류가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성 현상’을 억제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태양에서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09
-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뇌 질환이 없는 60세 이상 노인 96명의 자기공명영상(MRI) 결과를 분석해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을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08
- 최근 동시에 발표됐다.벨기에 왕립천문대 파스칼 로젠블라트 박사팀은 프랑스, 일본 연구진과 공동으로 포보스와 데이모스가 탄생하는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온라인판 7월 4일자에 발표했다.포보스와 데이모스는 각각 우주 공간을 떠돌다가 화성의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08
- 인력은 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으니까요. 며칠간은 혼란스러웠지만, 이곳의 연구진들은 평소와 다름없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유럽원자력공동체(EURATOM)가 영국에 설립한 세계 최대의 핵융합 토카막 연구시설인 유럽 공동핵융합실험장치(JET, Joint European Tokamak)에서 연구하고 있는 김현태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08
- 은하. 품고 있는 별의 온도에 따라 색이 다르다. 가운데 초록색 은하 사진은 영국 더럼대 연구진이 초록색 은하가 드문 이유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나온 시뮬레이션 이미지다.]은하의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08
- 시험 과정에 참여하고 있고, 올해 말까지 가속기 실험동을 교내에 구축한 뒤 내년부터 IBS 연구진과 함께 실험할 예정이다.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기르는 1세대 베테랑김은산 교수는 1세대 가속기 과학자다. 국내에서는 교과서로만 가속기를 배울 수 있었던 시절, 물리학을 전공한 그는 석사과정에서 ... ...
- [과학뉴스] 그래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608
- 탄소를 포를 뜨듯 얇게, 2차원으로 분리한 물질이 그래핀이다.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을 3차원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은 나노 구조체인 제올라이트를 주형으로 사용해 3차원 그래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래핀은 구리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