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
과학동아
l
201607
국내
연구진
이 세포의 자가포식(Autophagy) 작용이 일어나는 세부 과정을 밝혀 6월 15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발표했다.자가포식은 세포가 영양분 결핍 상황에 처했을 때 노화된 소기관 등 불필요한 물질을 분해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기능이다. 감염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제거해 체내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
과학동아
l
201607
시각장애를 치료하는 것이다. 이 병에 걸리면 눈의 광수용체가 손상돼 시력이 나빠진다.
연구진
은 망막색소변성증으로 시력이 심하게 낮아진 환자의 망막신경절세포에,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 ‘옵신’을 만드는 유전자를 심어 앞으로 2년간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레트로센스 세라퓨틱스사의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
과학동아
l
201607
반도체 물질로 불리는 ‘흑린(검은 인)’의 독특한 열전현상을 국내
연구진
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열전현상이란 온도가 다른 두 금속을 접촉시킬 때 전기가 흐르는 현상이다. 흑린은 다른 2차원 소재보다 전하의 이동이 10배 이상 빠르면서 열 전도도가 낮은 성질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7
비해 빛이 약해서 보이지 않는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그래서 최근 국내
연구진
이 발견한 중간질량 블랙홀이 주목 받고 있다. 김민진 한국천문연구원 은화진화그룹 선임연구원은 활동성 은하인 NGC 5252에서 약 3만 광년 떨어진 공간을 떠도는 블랙홀을 발견해 학술지 ‘천체물리학’ 2015년 1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
과학동아
l
201607
노트북을 빼놓은 건 최근 기자가 내린 판단 중 가장 탁월한 결정이었다).동행하는
연구진
의 ‘예보’를 무시한 결과는 참혹했다. 왜 동물들이 네 발로 산을 오르는지 절감했다. 소리만 들으면 마치 히말라야 고산을 등반하는 산악인인 줄 착각할 정도로, 기자는 거친 숨을 몰아쉬며 네발(?)로 지리산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06
공동
연구진
이 화학반응의 중간 과정을 볼 수 있는 현미경을 개발했다.
연구진
은 일산화탄소(CO) 분자를 이용해 비접촉원자력현미경(nc-AFM)의 해상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은 표면에서 일어나는 고리화반응의 전 과정, 즉 반응물질부터 중간생성물, 결과물을 모두 분자 수준까지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 ...
[과학뉴스] ‘제2의 피부’로 눈가 주름 걱정 끝?
과학동아
l
201606
효과를 보였다. 노화로 생긴 눈 밑 지방을 24시간 동안 40%나 적게 보이게끔 하기도 했다.
연구진
은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주름을 숨길 때, 또는 습진을 예방할 때 인공피부가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안전성 검증시험은 아직 받지 않은 상태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
얼지도 않지요. 돈 후안 호수의 소금기는 어디서 왔을까요? 2013년 미국과 캐나다 공동
연구진
은 호수의 서쪽에 염화칼슘 퇴적층이 있는데, 이 퇴적층이 공기 속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빨아들여 소금물을 만드는 현상을 관찰했어요. 이 소금물이 돈 후안 호수로 흘러들어 염도가 높은 호수가 만들어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6
증명이라 헤일스 교수는 오류가 없는지 한 번 더 확인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2015년에는
연구진
21명과 함께 논문을 읽고 수학적으로 오류가 없는지 따지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습니다. 그 결과 증명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지요.이제 케플러의 추측을 3차원이 아닌 n차원 문제로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06
‘센티넬(Sentinel)-4’를 쏘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한미 공동
연구진
은 협력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분석 결과를 얻기까지는 1~3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은 교수는 “미국의 경우 항공기를 이용해 수년 동안 같은 지역의 대기 질을 조사하기도 한다”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