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photo"(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과학동아 l201101
- 우리나라에도 처음으로 신종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가 나오면서 의료계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에 발견된 슈퍼박테리아는 강력한 최신 항생제에도 죽지 않을뿐 아니라 확산 속도가 빨라 의학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여러 종의 항생제에 듣지 않는 신종 다제내성균(일명 슈퍼박테리아) 감염 ...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101
- 지난해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서울 코앞까지 번지고 있다. 국내에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그런데 이 구제역의 원인은 당신이 무심코 외국에서 들고 온 소시지일지도 모른다. 외국에서 들여온 소시지가 왜 그토록 위험한지 알아보자. “가방 열어 주세요. 소시 ... ...
- 과학동아가 확 바뀝니다과학동아 l201101
- 수 있는 ‘fun’,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scientist’ 그리고 사진으로 감상하는 ‘photo’와 각종 정보를 담은 ‘info’까지 다양한 섹션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각 섹션에서 과학을 이끌어가는 과학동아만의 수준 높은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넷새로운 편집 스타일 을 즐겨 보세요이번 호 ... ...
- Photos as Memories과학동아 l201012
- pictures later and review them in sequence, helping their lost memory. Their episodic memory is lost, but reviewing photos in the Sensecam will help them to understand what they have experience ...
- Controlling Our Dream과학동아 l201009
- of it to look at. If you used to have flying dreams and you haven’t had one in a long time and you miss them, find a photo of a human flying. Question 3. What about controlling someone else’s d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과학동아 l201001
- 먹고, 마시고, 춤추고, 노래하고~.다 함께 모여서 신나는 잔치를 벌이는 모습은 사람이나 동식물이나 비슷한 것 같다. 동아사이언스는 지난 10월 20일부터 한 달 동안 제1회 ‘과학동아ㆍ어린이과학동아 생태사진 공모전’을 열었다. 수상작에는 꽃잎에 앉아 꿀을 흠뻑 마시는 호랑나비부터 우아한 ...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001
- 수상작들입니다. 수상작을 비롯한 전체 작품은 동아사이언스포토커뮤니티 홈페이지(photo.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잠자리가 좋아 (원춘호, 동물부문 우수상)‘이걸 어떻게 요리해 먹을까?’ 가을날 남이섬에서 잠자리를 물고 있는 흰눈썹황금새 수컷을 발견했어요. 마치 잡은 잠자리를 ...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과학동아 l200807
- DSLR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의 크기에 따라 크게 풀프레임(Full Frame) DSLR 카메라와 APS (Advanced Photo System, 신규격 사진 시스템) DSLR 카메라로 나뉜다. 두 카메라는 초점거리에 따른 화각 크기가 다르다.풀프레임 DSLR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필름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필름의 크기(대각선 길이 35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과학동아 l200205
- 입체사진 제작 전문회사인 이노피앤지가 제작했다. 이노피앤지(Ino P&G)는 ‘Innovation Photo & Graphics’의 줄임말로, 평면사진과 그래픽에 여러 기법을 동원해 생생한 입체 효과를 나타내는 기술을 가진 회사라는 의미다.이노피앤지는 생생한 입체를 나타내는 기법 중 렌티큘러, 베리어 방식의 제품을 ... ...
- 1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과학동아 l200202
- 균일한 두께로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시킨다. 다시 그 위에는 빛에 민감한 감광재료(photo resister)를 고르게 퍼지도록 해서 감광층을 만든다. 그런 후 반도체 기판에 표현할 각종 회로가 그려진, 사진에서 필름 역할을 담당하는 마스크를 실리콘 기판 위에 가까이 가져간다. 다음으로 마스크 위에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