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울기
비탈
사면
오르막길
경사도
경각
날실
d라이브러리
"
경사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생기면서 바로 햇빛이 비쳐 무지개가 잘 만들어져. 두 번째 이유는 가파른 산이야.
경사
가 급격한 하와이의 산은 습한 공기가 타고 올라 산 위에서 비구름을 만들기 쉽지. 하와이가 무지개가 맛집인 이유가 또 있을까?버싱어 교수는 섬의 바깥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높은 산들이 둘러싸 막아주는 것도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제주도 남쪽을 지나 바다로 흘렀다. 마지막 빙기가 지나고 구황허강은 사라졌다. 황해는
경사
가 완만하기 때문에 단순히 지형만으로 이처럼 자세하게 줄기를 복원할 수 없다. 연구자들은 탄성파를 이용해 과거의 강줄기를 복원해냈다. 강물은 퇴적물과 함께 흐른다. 그래서 강이 흐른 자리엔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이처럼 산지하천이 발달한 이유는 단순하다. 한반도에 산지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경사
도가 5도 이하인 평탄한 지역은 약 23%에 불과하다. 변 교수는 “하류에 속하는 남한강과 북한강 합류 지점에 이미 고도 600m 이상의 산지가 발달해 있고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하천 양안에 높은 산지가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남방계 집단과 옛 동북아시아인 집단은 북중국 일대에서 다양한 비율로 혼합돼 유전자
경사
(genetic cline)를 형성했다. 북중국 여러 지역의 고유전체 연구는 두 계통의 혼합 비율이 지역에 따라, 한 지역 안에서도 시기에 따라 변해왔음을 보여준다.특히 현대 한국인 유전자 풀(생물 종이나 개체 속에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AI 학습 알고리듬은 처음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거나 이를 통해 답을 찾아갈 때 모두
경사
하강법을 사용합니다. 여러 데이터는 알고리듬 내에서 여러 겹의 행렬층으로 존재하는데요. 미분으로 각 행렬층의 데이터에 대한 오차를 계산해 오차범위 밖의 값을 가지는 층의 데이터를 제외하거나 전체 ... ...
[수학뉴스] AI로 환생한 라마누잔 수학 상수를 공식으로 나타내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여기에 함수의 기울기 값을 구하고 절댓값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극값을 찾는
경사
하강법을 적용해 상숫값을 얻는 공식 수십 가지를 찾아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AI 기술을 확장해 더 다양한 상수들에 관한 추측을 찾을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3일자에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a가 계수입니다. a는 y의 증가량을 x의 증가량으로 나눠 구할 수 있어서 그래프의 기울기(
경사
도)를 뜻하기도 합니다. a가 양수면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직선 그래프가 생기고, a가 음수면 오른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직선 그래프가 나옵니다. 또 a의 절댓값이 커지면 기울기가 점점 가파르고,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눕혀 지붕처럼 덮어요. 그 위에 비닐을 씌우고 나뭇잎을 덮어 지붕을 만들어요. 지붕에
경사
가 생겨 비가 집 안으로 들어오지 않고 바닥으로 흘러가죠. [어수동] 불은 어떻게 피워요?여러 방법이 있어요. 잘 마른 나무나 부싯돌을 이용해 마찰열로 불을 피울 수 있어요. 가장 몸이 덜 힘든 방법은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신재생에너지 시설이 아니던가. 이 작은 국토면적에서 최대 규모로 짓는다니 겹
경사
다.그런데 살짝 불안한 구석이 있다. 물 위를 저렇게 크게 덮어도 되는 걸까. 저렇게 덮으면 그 아래에 있는 물은, 그곳에 꾸려진 생태계는 온전할까. 최근 6년 사이에 보도된 국내 수상태양광 시설 건설 관련 뉴스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사이에 흙 수로 대신 콘크리트 수로가 많이 생긴 거예요.
경사
가 완만한 흙 수로와 달리
경사
가 급한 콘크리트에 개구리가 빠지면 빠져나오기 힘들어요. 특히, 금개구리는 높이 뛰지 못해 걱정이었지요. 그래서 콘트리트 수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파면 여러 생물종들이 미끄러지지 않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