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업"(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않았다. 전자파 발생량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최동근 국립전파연구원 전자파안전담당 공업연구사는 “무선이어폰은 기본적으로 수신기”라며 “마이크를 사용하거나 이어폰을 통해 기기를 조작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따로 전파를 송출하지 않아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최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경성고등공업학교에서 만들었던 ‘공우(工友)’와 함께 과학 대중화를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과학조선 Ι 일제강점기의 과학동아‘과학조선’은 발명학회가 1933년 6월 창간한 국내 최초의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희수리연구회를 조직하고 잡지 ‘과학’을 발간했다. 이준열을 비롯한 경성고등공업학교 조선인 졸업생들은 과학 보급단체인 공우구락부(工友俱樂部)를 만들어 대중강연을 진행했고, ‘공우(工友)’라는 계몽지를 만들어 배포했다. 중등 교원을 포함한 조선인 생물학 연구자들은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말했다. 1980년대 후반, 나카무라 교수가 일본의 화학분야 중소기업인 니치아 화학공업에 재직할 당시 적색과 녹색 LED는 있었지만, 청색 LED는 없었다. 나카무라 교수는 “당시 사장이 ‘청색 LED는 만들어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화가 났고, 나는 청색 LED를 개발하게 해달라고 호소했다”고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에서 연구원 신분으로 1967년 해외 연수를 떠난 변형직 박사가 이케다 토미키 일본 도쿄공업대 교수의 고분자화학 연구팀에서 진행한 합성 실험이 그 시초입니다. 당시 변 박사는 실험에 필요한 시약을 실수로 1000배나 많이 넣어버렸습니다. 그런데 보통 얻어지는 검은색 분말 대신 밝게 빛나는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권한다! 자세한 내용은 82쪽 참조). 물론 과거에는 속성으로 막걸리를 발효시키기 위해 공업용 화학물질인 카바이드를 사용하기도 했다. 악취도 심하고 숙취도 있었다. 하지만 요즘은 카바이드 사용이 금지됐다. 또 1990년대 초반까지는 발효가 덜 끝난 막걸리를 병에 넣어 팔다보니, 발효 과정에서 ...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지역을 말해요. 수심이 얕아 낮과 밤의 온도 변화가 심하지요. 육지에서 생활하수나 공업용수등으로 오염된 물이 들어와 쉽게 오염되는 지역이기도 해요. 명 연구원은 “조간대는 환경 변화가 심해 물고기가 살기 어렵다”며, “별망둑은 여기서도 잘 사는 생존력이 강한 물고기”라고 말했답니다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인공 다이아몬드로 만든 새로운 보석을 판매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인공 다이아몬드를 공업용이 아닌 보석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은 처음이에요. 현재 다이아몬드 1캐럿의 가격은 최대 800만 원 정도인데, 인공 다이아몬드로 만든 보석은 10분의 1 가격인 85만 원 정도라고 해요. 그렇다면 보석으로 ... ...
- Part 5. 다이아몬드 합성 공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자연스럽게 구에 가까운 순서대로 1번부터 9번까지 분류돼요. 이후 가공을 거쳐 여러 공업 분야에 쓰인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보석부터 지구의 타임캡슐까지, 다이아몬드의 활약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구분해보자. 2017년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에 따르면 미국, 캐나다, 한국 등 선진국이나 공업이 발달한 국가는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많지만, 중남부 아프리카, 남부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미 등 개발도상국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이 적은 편이다. 오늘날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8%는 OECD 국가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