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업"(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화학공학, 공업화학, 생물공학의 세 학문을 합친 학부입니다. 대부분 물리학을 가장 많이 배우고 활용하는 공대 내에서 화학생물공학부는 유일하게 물리학, 화학, 생물학 지식을 전부 활용하는 전공입니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는 김재정 교수는 화학생물공학부에 대해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없었다. 박영진 한국전기연구원 의료기기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10kW 전력을 보낼 때 송신기로 가로와 세로가 각각 수m가 넘는 대형 안테나와 수신기를 사용했다”고 말했다.효율이 낮아 경제성은 떨어지는데 안테나는 거대하다보니 이를 적용할 산업이 없었다. 선을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회원국에 할당량을 넘기는 일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진공용기 제조는 현대중공업이 전담하고 있다.천장 높이가 60m에 이르는 메인 조립동 가장 안쪽에는 철탑처럼 생긴 진공용기 조립장비가 거대한 양 날개를 펼친 채 서 있었다. 높이 22m, 폭 20m에 이르는 이 장비는 한국 회사인 SFA가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3배가량 빨리 제거하는 분리막을 만들어 냈습니다. 앞으로 이 기술은 먹는 물이나 공업용 물로 쓰기 어려운 바닷물을 염분을 제거해 쓸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 줄 예정입니다. 두개골의 생성두개골이 형성되는 과정을 알고 계시나요? 마치 지구를 덮고 있는 지각판이 서로 붙어 있는 것처럼 네 개의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발생시켜 쏘는 장치가 있긴 하지만, 유효 거리가 7~8cm 이내로 짧아 금속을 자르는 공업용으로 쓰이는 데 머물러 있다. 제다이가 든 광선검은 원래 별다른 설명 없이 영화에 등장했는데, 나중에 플라스마로 만든 검이라는 설명이 붙었다. 미치오 카쿠 미국 뉴욕시립대 석좌교수는 2010년 자신이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100년이 넘습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17년 지질조사소가 설립되고 그와 함께 경성고등공업학교에 ‘광산과’가 설립된 뒤 1939년 경성광산전문학교로 독립했습니다. 그리고 1946년 서울대가 생기면서 공대로 통합됐죠.”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장은 100년이 넘은 학과와 산업의 역사를 이같이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플라스틱은 페트병 형태를 기준으로 땅속에서 6개월 정도면 분해된다. 이 교수는 “공업적으로 합성하는 플라스틱 생산 방식에 비해서는 아직 효율이 떨어진다”면서도 “플라스틱 제작에 원유 대신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포도당을 이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테리아로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한 고효율 청색 LED를 세계 최초로 보고했고,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니치아 화학공업은 청색 LED와 백색 LED를 상용화했습니다. 구조물 삽입해 LED 효율 높여청색 LED와 이를 활용한 백색 LED는 현재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청색 LED의 발광 효율을 올리기 위한 연구는 여전히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조선공학자였던 고(故) 김재근 교수와 한국 조선 산업계를 대표하는 민계식 전(前)현대중공업 회장이다.1940년대 당시 작은 고깃배조차 스스로 설계할 능력이 없었던 한국에서 김재근 교수는 독학으로 선박 설계 기술을 익힌 뒤 미국 유학을 거쳐 한국 조선공학의 기반을 닦았다. 그의 연구팀은 1t(톤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을 했는지 증거를 찾는 경우에도 필요하다. 박남인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디지털분석과 공업연구사는 “다양한 소리가 섞여 있을 때 사람의 귀는 원하는 소리만 집보여중해서 들을 수 있는데, 이를 ‘칵테일파티 효과’라고 한다”며 “반면 기계는 중요한 소리뿐 아니라 주변에서 들리는 잡다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