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극한"(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가 쓰는 물은 담수다. 담수는 바다에서 대기, 구름, 강, 다시 바다로 순환하며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게 해준다. 이런 물 순환이 호수와 댐, 수원을 끊임없이 채우는 불변의 과정이라 여겨왔을 것이다. 언제라도 수도를 틀면 깨끗한 물이 콸콸 나오듯이 말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전 지구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BJT)을 조합해 레골리스를 단단한 벽돌로 만들었다. 3D 프린팅된 달 표토 벽돌이 우주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고 우주 건축 프로젝트에 적합한 후보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1200℃에 구운 벽돌은 지구 대기의 2억 5000만 배에 달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었다. 달 뿐만 아니라 화성의 지질자원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장소 조회 수 : 10만 회채널명 : 지식반장 (구독자 수 : 744명)지구상에서 살아남기 힘든 극한지역 7곳을 공개합니다! 20세기 최악의 원전 사고로 널리 알려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부터 원시 부족이 여전히 생활하는 인도 노스 센티널 섬, 위험성이 이름에서도 드러나듯 세계에서 가장 ... ...
-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8호
- 사례를 기후위기라고 바로 단정 짓기는 어려워요. 하지만 추세나 통계를 살펴보면 이런 극한 현상이 지구온난화 때문임은 분명합니다. 전 세계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서 이미 1.1℃ 상승했어요. 2040년엔 1.5℃까지 상승할 거라고 해요. 1.1℃만 올라도 지금과 같은 재해가 일어나는데, 더 ... ...
- [기획] 다누리 발사만 남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다누리는 우주에서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영하 183℃에서 영상 123℃까지의 극한 온도●, 진공, 고압 상태를 재현하는 열진공챔버에서 우주환경시험도 받았습니다. ●달은 해가 비출 때와 아닐 때 온도 차가 200℃ 이상 벌어지기 때문이다. 다누리는 7월 5일 컨테이너에 실려 ... ...
-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이용 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점차 생겼다.우주는 그 아름다움에 취해 잊기 쉽지만 극한의 환경을 자 랑한다. 우주는 진공 상태이고 기온이 영하 수백℃까지 떨어 진다. 물론 다른 행성 표면에 간다면 조금 상황이 나아지겠지 만, 그나마 가 능성이 가장 높은 화성도 현재는 인간이 살 수 없다. 인간을 ...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11월 3일, 기자는 CMS 검출기에 쓰이는 RPC (Resistive Plate Chamber저항판 검출기)를 만드는 극한핵물질연구센터의 한국검출기연구소를 방문했다. RPC는 뮤온 입자를 찾아내는 검출기로, 실험실 책상 위에는 부채꼴처럼 생긴 넓은 검출기 부품이 여럿 쌓여있었다. 이 연구원은 1999년에 RPC 연구를 시작해 200 ... ...
- [기획] 수리 생물학 노트 III, 새의 날개짓 비행체에 적용하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날아다닌다”며, “새처럼 안정적인 동시에 어떤 상황에서도 재빠르게 비행할 수 있는 극한의 기동성을 구현할 수 있는 비행체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어요. 최근에는 소형 비행체뿐만 아니라 새의 비행 원리를 적용한 큰 무인 비행체도 개발하고 있어요. 이 비행체는 날갯짓보다는 새처럼 ... ...
- [특집] 2026년엔 바닷속에 사람이 산다?! 해저 도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Part2. [특집] 해저 도시 로봇이 짓는다Part3.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Part4.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 ... ...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심해는 인류에게 여전히 미지의 공간이에요. KIOST 한택희 연구책임자는 “극저온, 극고압의 심해는 우주보다 건설하기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지요. 해저 도시의 첫 단계인 해저 모듈은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할까요? 둥글둥글 해저 모듈, 다 이유가 있다?해저 도시의 기반이 될 해저 모듈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