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계
극도
극치
한도
절정
정점
클라이맥스
d라이브러리
"
극한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전류, 저항 등 물리량을 측정해야 한다. 양자 상태를 관측하려면 2차원 물질에
극한
환경을 부여하고 오염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양자홀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물질이 그래핀이다. 테이프로 흑연의 층을 분리해 누구나 손쉽게 2차원으로 만들 수 있는 데다 순수하게 탄소로만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자릿수까지 구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끊이질 않는 가운데, 아르키메데스의 다각형법으로
극한
의 계산을 시도했던 코일렌처럼 무한급수를 이용해 엄청난 양의 계산을 해낸 사람이 있었습니다. 1873년 소수점 아래 707번째 자릿수까지 계산한 영국의 아마추어 수학자 윌리엄 샹크스입니다. 무려 15년에 ... ...
[한페이지 뉴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변수(진폭과 위상) 중 진폭의 변화로 드러난다. 윤성우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
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은 “양자 압착 기술을 이용하면 위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진폭을 정확하게 분석해 각 주파수에서 액시온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그리는 것을 생각했어요. 지름이 매우 짧아지면 그 반원의 호의 길이와 같아진다는
극한
의 개념을 사용한 겁니다. π 암송 영상은 그 긴 시간 동안 제가 직접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하나씩 읽고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코딩을 이용해 π를 읽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죠. 향후 제 채널에서 코딩도 함께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미 온난화가 시작된 지구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작물 재배 방법도 바뀌어야 한다.
극한
기후에서도 생존력이 높은 작물을 개발하기도 한다. 지난해 1월 극지연구소가 개발한 벼는 남극 식물에서 발견한 유전자를 삽입해 온도와 습도 내성을 높였다.방글라데시처럼 이미 기후변화에 의해 태풍과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13개 도시에 설치된 광자력계를 동기화했습니다. 그중 대전 KAIST에 있는 IBS 액시온 및
극한
상호작용 연구단은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광자력계 동기화에 참여해 암흑물질 탐색에 참여하고 있습니다.바닷속에 정말 다양한 생명체들이 살지만 우리는 아직 바다의 비밀을 다 밝히지 못한 것처럼, 암흑물질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경험에 비추어 격려했습니다. “①과 ②가 다른 이유는 함수의 수렴과 관련한 이론이나
극한
에 관한 섬세한 계산을 해야만 엄밀하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②의 설명 자체가 좋은 설명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고등학생 시절의 저와 마찬가지로 이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해석도 가능할 거라 생각한다. 예상 해결 방법적절한 모집단을 설정해 통계적 확률의
극한
을 생각해 보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과학동아 ‘궁극의 질문’ 선정 이유 이 문제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계산할 수 없다면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는 “지구온난화뿐만 아니라 기후변화가 가져올
극한
추위에서도 건강은 위협받는다”며 “심부 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가 클 땐 몸에서 발생하는 열보다 몸 밖에서 빼앗기는 체온이 더 커 적정체온 유지가 어렵다”고 말했답니다. 기후변화 때문에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초전도체가 개발되다니! 초전도체가
극한
의 추위에서 벗어나기를 과학자들이 얼마나 기대했는지 아세요? 무려 100년이 넘는 시간을 기다렸다니까요! 이렇게 긴 시간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1] 20세기 초 “엄청 낮은 온도에서 저항은 어떻게 변할까?”저항이 발생하는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