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별남
엽기
기괴
d라이브러리
"
기이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됐다.아인슈타인은 물질의 존재에 따른 시공간의 주름을 예측했다. 때로 이 주름은
기이
한 현상도 상상하게 했다. 시공간을 접고 그 사이에 다리를 놓으면, 막대한 공간 차이를 순식간에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우주의 주름에서는 공간도 시간도 건너뛸 수 있지 않을까. 수많은 SF에 차용된 이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몇 개 더 발견됐다. 세드나를 발견한 마이클 브라운 교수는 태양계 최외곽을 움직이는 이
기이
한 천체들을 ‘세드나류 천체(Sedna-like objects)’로 묶어 부른다.마이클 브라운 교수팀은 이 천체들의 ‘근일점이각’에 주목했다. 근일점이각은 궤도에서 상승점(천체궤도가 황도면과 만나는 점 중 하나)과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배우는 야생에서 살아남
기이
날 방사된 곰들은 생후 10개월 된 수컷 두 마리이다. 이들의 어미(CF-37)는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 2011년 중국에서 데려왔다. 어미는 올해 1월 달에 수컷 두 마리를 출산하였고, 새끼들과 처음 8개월을 같이 지내면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여러 기술을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하면, 지난 수상자가 칼 삼키기 묘기를 보이기도 한다(사진➍).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기이
한 시상식은 9월 17일 저녁 6시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열렸다.세상에서 제일 아픈 독침은 총알개미 독침놀랍게도 직접 느낀 고통을 수치화한 사람이 또 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 생물학연구소의 저스틴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모습은 매우 평범해 보인다. 하지만 근처로 다가가면 다른 도마뱀들이 보여주지 못하는
기이
한 묘기를 보여준다. 옆구리에 달린 ‘날개’를 펼쳐 가지에서 뛰어내려 활공을 하기 때문이다. 멋진 공중묘기를 부릴 줄 아는 이 도마뱀의 이름은 플라잉드래곤. 이들의 옆구리에 있는 날개는 길어진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새롭게 밝혀졌다. 2개는 모자라… 태양 4개 뜨는 사성계한술 더 떠 태양이 3~4개 되는
기이
한 외계행성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지난 3월 2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발표한 30 Ari라는 별은 태양이 무려 4개인 ‘사성계’이다. 사성계는 보통 쌍성이 이중으로 겹쳐 만들어진다.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데 최소 세 달 이상 걸린다.실험실에서 파리와 구더기를 키우는 모습이 아무래도
기이
했다. “먹이는 뭘 주나요?” “얘네가 돼지나 소 간을 좋아해서, 가끔 마장동에 고기 떼러 갑니다.” 신 박사는 “앞으로 5~10년 정도는 계속 연구해야 실제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자료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속 중간에 놓으면 불과 수십만 년 사이에 치아 크기가 급격히 커졌다가 다시 줄어드는
기이
한 진화 패턴을 보이게 된다. 고인류학에서는 진화 과정이 이렇게 오락가락하지는 않는다고 보기 때문에 가르히 역시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기는 어렵다.연구팀은 주변 지층을 분석해 이 시기에 왜 초기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플라스크 안에는 오직 니트로셀룰로오스 성분만 남아 있었던 것이다.베네딕투스는 이런
기이
한 현상에 흥미를 느끼고 같은 조건으로 다시 실험했다. 그 결과 니트로셀룰로오스가 깨진 유리 조각을 묶어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당시에는 연구를 더 발전시키지 않았다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살다 사라진 동물이다. 비슷한 친척 종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 지만, 모습만 봐도 몹시
기이
하게 느껴질 정도로 낯선 것들도 있다. 이들은 모두 변덕스럽고 추운 빙하시대의 혹독한 환 경에 나름 적응해 번성했다. 하지만 이 들의 시대는 갔다. 대신 다른 동물의 시 대가 왔는데, 바로 이들 거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