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별남
엽기
기괴
스페셜
"
기이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것이다. 무려 7쪽에 이르는 기사는 ‘사기가 아닐까?’ 하는 의심이 약간 들 정도로
기이
한 내용이다. 쉽게 말해 천연수소 개발이 최상의 시나리오대로 진행되면 인류가 쓰는 에너지를 공급하고도 남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도 꽤 제시하고 있어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비웃고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해상에서 발달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남서진하다가 급격히 꺾인 후 북상하는
기이
한 경로를 보였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과, 태풍의 남쪽에 발달했던 열대 저압부의 영향을 받아 이런 경로로 이동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위도에서 발달해 남서진했다가 북상하는 동안 다시 ... ...
여름만 40년 해왕성 기온 내내 떨어지다 급상승 불가사의
연합뉴스
l
2022.04.12
가장 바깥에 있는 해왕성의 기온이 점차 올라야 할 여름철에 오히려 떨어지다 급등하는
기이
한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7년치 관측 자료를 토대로 확인한 것이지만 현재로선 설명이 불가능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구처럼 자전축이 기울어 사계를 가진 해왕성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 ...
블랙홀이 뱉은 제트가 가던 길 멈춘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외 제트가 발하던 빛의 영역 역시 모양이 일그러졌다. 와지마 책임연구원은 “이 천체의
기이
한 성장 과정을 자세히 관측함으로써 활동성은하핵과 제트의 신비로운 형성과정을 풀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기태 천문연 전파천문본부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한일 공동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레이철 우드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는 네이처에 “미생물이
기이
하고 멋진 모양과 패턴을 만들 수 있다”며 다른 미생물의 흔적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터너 교수는 당시 암석에 살던 유기체는 이번에 발견된 복잡한 구조를 설명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조너선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최근 리 스미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천문학연구소 연구원팀은 VVV-WIT-08에서 발견한
기이
한 현상의 원인이 이 별이 미지의 초대형 천체와 쌍성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혀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6월 11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93/mnras/stab1211 쌍성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 ...
'코로나19 극복은 새로운 도전' 노벨상 수상자도 팔 걷어붙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산소 농도가 50% 이하인데, 코로나19 환자는 호흡에 전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기이
한 증상을 보였다”고 적었다. 피터 랫클리프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세포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우리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저산소증의 비밀을 푼 공로로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세포에서 산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없는데, 이번 측정 결과 물보다 수십 배 큰 기름의 값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런
기이
한 현상에 대해 연구자들은 얼음 표면 물층이 단순히 물층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그 충격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아기의 머리뼈가 서로 겹쳐지는
기이
한 적응과 더불어, 어머니의 골반도 믿을 수 없는 적응적 능력을 보여준다. 골반을 이루는 뼈가 잠시 벌어지는 것이다. 릴렉신이라는 호르몬이 나와서 골반뼈 사이의 인대를 최대한 늘린다. 머리는 최대한 줄이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누더기가 된 은하도시의 꿈
2019.10.24
-이명박 전 대통령 '대통령과의 대화 - 2011 대한민국은!'중에서 은하도시라는
기이
한 꿈 은하도시포럼 설립취지문(민동필) 시작은 은하도시였다. 그리고 그 중심엔 당시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였던 민동필 박사가 있다. 그는 기초과학과 문화∙예술이 중심이 되는 인구 50만의 도시를 만들자는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