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농업기술"(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강은 끊임없이 변한다. 범람과 물 빠짐을 반복하며 새로운 퇴적지가 생기고, 작은 물길이 새로운 지류로 탄생한다. 이전에 없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변화는 대개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이상의 지난한 시간에 걸쳐 일어난다. 그런데 최근 훨씬 짧은 기간인 수십 년, 심지어 수년 사이에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이미지를 크게 보려면 PDF를 클릭하세요 더이상 지구상에 인류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은 남아있지 않은 걸까. 만약 그런 구역이 남아있다면 지금이라도 보전할 가치가 있다. 이에 생태 보존 연구자들은 1980년대부터 지도를 펼쳐 놓고 인류의 손이 닿지 않았을 법한 지역을 찾아 나섰다. 처음에는 단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특정 생물종을 대표하는 유전체 정보인 표준유전체는 ‘설계도’에 비유된다. 정확한 표준유전체만 있다면 해당 염기서열을 재조립해 멸종한 생물을 되살리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유전체 해독 방식은 유전체 내 반복서열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12개국 50여 ... ...
- [특집]딸기 독립 만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품종을 키우고 있어요. 그중에서도 신품종 ‘설향’이 대부분을 차지해요. 2005년 충남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에서 김태일 시험장장이 아키히메와 레드펄을 교배해 만든 딸기지요. 설향은 달콤하면서 과육이 너무 무르지 않고 병충해에 강한 덕분에 맛도 좋고 키우기도 좋아요.그밖에도 100g당 77.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연구실에서 만난 이현주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농업연구사는 2009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식물병원을 처음 개원했을 때부터 자리를 지킨 ‘식물 의사’다. 농민과 식물 애호가가 자식처럼 키우는 식물이 고객이다.식물병원은 농가의 진흥을 위해 설립됐다. 식물의 해충, 질병, 관리 등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행히 아직 희망이 있대. 과학자, 개인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협력하기 시작했거든! 여섯 번째 대멸종, 힘을 모아 막아보자! 급진적인 과학으로 지구를 되돌리자!지난해 2월 미국의 비영리 연구단체 ‘북극 얼음 프로젝트’는 유리 가루를 북극의 해빙 위에 뿌리면 태양 광선을 반사해 해빙이 녹는 ... ...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올해 ‘소미더뭐니’ 첫 번째 부문은 최고의 흰 소를 찾아라!여러 쟁쟁한 흰 소 품종들이 눈에 띄는군….하지만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는 따로 있다는데 누구지? 소는 인간과 오랫동안 함께해온 동물이에요. 기원전 4000년 전 이집트 사원의 벽화에 젖소의 우유를 짜는 모습이 그려져 있을 정도예요. ...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국내에서도 신품종을 개발해 식물 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고양시 농업기술센터에서는 화훼산업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미의 신품종을 개발하는 품종육성 연구를 하고 있다.장미 품종육성은 1년 단위로 연구가 진행된다. 매년 2월이 되면 전년도에 교배한 장미 종자를 파종하고, ... ...
- 글로벌 시대, 6G 연구 동맹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초, 초, 초, 초, 초, 초’6세대(6G) 이동통신 시대 핵심 기술의 특징은 초성능, 초대역, 초정밀, 초공간, 초지능, 초신뢰로 집약된다. 끊기지 않는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3차원(3D) 홀로그램 서비스 등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분명한 것은 6G 시대를 열 방대한 기술을 특정 기업이나 국가가 홀로 ... ...
- 이중섭의 '흰 소' 과학적 가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2021년 신축년, 흰 소의 해가 찾아왔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흰 소를 찾아보기 어렵지만, 과거에는 한반도에도 흰 소가 살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이름은 백한우입니다. 백한우는 한우의 한 품종으로 흰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존재는 여러 문헌과 미술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