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농업기술"(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동물 축제, 무엇이 문제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 그럼 우선 이번 긴급회의 주제부터 발제하겠습니다. 도대체 사람들은 왜 동물 축제를 여는 걸까요? 그리고 이런 동물 축제의 어떤 면이 문제로 꼽힐까요? 동물 축제, 왜 문제일까? 동물 축제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동물 축제가 동물과 생태계를 괴롭힌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017년, 서 ... ...
- Part 2. 놀이 대상이 아니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럼, 오늘 주제에 대해 어류 대표인 제가 먼저 말하겠습니다. 1월 5일, 우리 산천어의 이름을 딴 축제가 한창인 화천천에 5개의 동물보호단체가 모여 산천어 축제 반대 피켓을 들었어요. 뭐가 문제냐고요? 문제 1 - 산천어는 원래 화천에 살지 않는다! 산천어는 강원도 태백산맥의 동쪽 지방,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러분의 의견 잘 들었습니다. 한편으론 이런 생각도 듭니다. 사람들은 우리 동물들 없이는 즐겁게 놀지 못 하는 걸까요?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2018년 7월 7일, ‘동물축제 반대축제(동축반축)’가 열렸어요. 동축반축은 동물이 일방적으로 희생되는 축제는 진정한 ‘동물 축제’가 아니 ... ...
- Part 4. 잡지 말고 관찰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안녕하세요. 저는 조류 대표 홍학이에요. 저는 분위기를 조금 바꿔볼까 해요. 우리 홍학들은 작년에 축제의 주인공이 되어 신나게 축제를 즐겼거든요. 저희의 사례처럼 축제가 우리 동물들에게 도움이 된다면 모두가 즐겁지 않을까요? 동물과 함께 살기 위한 축제! 매해 8월, 영국 러틀랜드 워터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울음소리를 분석하는 AI ‘딥꼬꼬’도 개발됐다. 웨인 데일리 미국 조지아공대 농업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닭의 울음소리 패턴을 분석하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2014년 12월 국제 신호정보처리학회인 ‘IEEE 세계 신호 및 정보처리 컨퍼런스(Global SIP)’에서 발표했다. 식용 닭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018년 11월 25일, 생명과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을 만한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이 영상에서 허젠쿠이(賀建奎)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는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으로 수정란의 유전자를 편집해,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에 면역력을 가진 쌍둥이 ‘룰루’와 ‘나나’를 탄생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돼지는 8000년이란 세월동안 대표적인 가축으로 인류와 함께했다. 소처럼 농업에 보탬이 되거나, 염소처럼 젖을 제공하지도 않고 오롯이 식량 자원으로만 말이다" ‘황금돼지의 해’ 2019년이 밝았다. 돼지는 복과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다. 하지만 동시에 더럽고 천박하며 게으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아무리 다리와 터널을 통해 대륙을 이동할 수 있다고 해도 배를 이용해야 많은 물건을 한번에 멀리까지 옮길 수 있을 걸? 나 때는 말이야…, 커다란 배가 최고의 화물선이었다구. 저기 봐! 아직도 배에 화물을 잔뜩 싣고 가잖…, 어? 저 배엔 왜 사람이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어때, 요즘 농장의 모습은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르지? 아직 놀라긴 일러. 농장의 온도와 습도 같은 바깥 환경뿐만 아니라 식물의 상태를 알아낼 수 있는 날이 머지 않았다고! 나노공학자의 도시 텃밭 ‘클라스’ 사람은 건강 상태를 확인할 때 체온을 재거나 피를 뽑아요. 농사를 지을 때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딸기 농사를 짓는 부모님과 함께 경상남도 진주에서 나고 자란 하병욱 씨는 올해 28세인 농부예요. 4년 전 딸기 농사를 시작했다가 올해 3월부터 강원도 정선에서 곤드레를 키우고 있지요. 낮에는 농사 짓고 밤에는 로봇을 만드는 청년 농부의 도전기를 들어 보세요! Q 어떤 로봇을 만드시는 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