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결"(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피부 상처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딱지에서는 상온에서도 수년 동안 살아남는다. 저온에서 동결 보존할 경우에는 20년간 생존할 수 있다. 관리가 쉬워 단백질을 섞어 무기로 개발할 가능성이 크다. 두창 바이러스는 다른 나라에서 이미 여러 백신을 개발한 데다가, 우리나라 역시 CJ헬스케어가 두창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극저온전자현미경 혁명’으로 불려프랑크 교수의 단입자분석법과 뒤보셰 교수의 동결시료 제작법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생체 분자 연구에서 현재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다. 다만 이 기술이 만들어진 1980년대에는 해상도가 3nm 이상으로 생체 분자를 선명하게 관찰하기에는 상당히 낮았다.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극지연) 극지고환경연구부 선임연구원은 이런 독특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이 얼음의 ‘동결농축효과(Freeze concentration effect)’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흔히 얼음은 고체라고 생각하지만 현미경으로 보면 완전히 얼어붙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얼음 결정 주위에 얼지 않는 층이 있다. 마치 사람의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때 하던 연구 어떻게 되고 있냐”며 안부를 물었다. 도마고즈 바레틱 연구원이 최근 동결전자현미경으로 특정 단백질을 인산화시키는 효소의 구조를 풀었다는 이야기를 하자, 이 연구원은 “나도 그 단백질에 관심이 있다”며 “다시 만나서 좀 더 이야기해 보자”고 말했다. 새로운 연구가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필요한 정자은행정자은행은 정자를 채취해 용기에 넣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동결시켜 보관하는 곳으로, 필요한 양만큼 녹여 인공수정에 이용할 수 있다. 정자은행을 이용하는 이유는 자신이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에게 기증하기 위해서다.자신이 사용하기 위한 목적은 다시 둘로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일들이 그리울 때가 있어요.Q 매일 어떤 음식을 먹나요? 뭐가 가장 먹고 싶으세요?대부분 동결 건조된 음식에 물을 부어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만든 뒤 먹어요. 생각보다 맛은 괜찮아요. 게다가 우리는 약간의 창의성을 발휘해 더욱 맛있는 식사를 만들고 있어요. 동료 과학자는 연구를 위해 다양한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없었거든요. 이럴 때 개미학자들은 어떻게 할까요? 정답은 동결 스프레이! 생태학자들은 동결 스프레이로 개미를 차갑게 만들어 기절시킨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나서 풀어줘요. 배에 주름은 몇 개인지, 침이나 털이 있는지 등을 관찰하면 채집한 개미가 어떤 종인지, 혹은 새로운 종일지 알 수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영하 40°C에서 빠르게 냉각시키면 유물 속의 물이 고체 상태가 되는데, 그 이후 진공동결건조기에 넣으면 목재 속의 수분이 진공상태에서 승화돼 순식간에 기체가 된다. 컵라면에 들어있는 건조 김치나 건조 계란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을 쓰면 모양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1~2일이면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온도가 맞지 않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지의류는 체내의 수분을 빠르게 배출해 열이나 동결 현상으로 지의체가 망가지는 것을 막는다. 스스로 반건조 상태가 돼 생명을 유지하는 ‘버티기’의 귀재인 셈이다.지의류는 심지어 우주의 가혹한 환경까지 견딘다. 유럽우주국(ESA)은 2008년 2월부터 2009년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관찰하고 보호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는 의견이었다. 반대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동결낙인을 찍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 현재로선 다른 대안이 없지만 만약 낙인을 찍지 않고도 바다에서 제돌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더라면 어땠을까.지난 여름밤 파주의 한 조용한 시골마을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