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칸막이
칸막이벽
침병
가리개
발
막
휘장
d라이브러리
"
병풍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암이 남긴 육각기둥
병풍
주상절리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길을 따라 10분가량 들어가면 겹겹이 쌓인 검붉은 육각형 돌기둥들이 1.75km의 해안선을
병풍
처럼 에워싸고 있는 특이한 풍경을 만나게 된다. 예전에는 ‘지삿개’라 불리던 대포동 주상절리대가 바로 그것이다.마치 사람이 일부러 깎아놓은 듯한 오각 또는 육각의 검은 돌기둥들이 빽빽이 들어서있는 ... ...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바위에 하얗게 분칠을 한듯해서 ‘분바위’라고 불리는 대리석 기둥들이 해안선을 따라
병풍
을 두른 듯 위용을 드러내며 푸른 바다와 조화를 이루고 있어 장관을 연출한다.사람만한 것부터 집채만한 크기에 이르는 다양한 분바위가 뒤엉킨 군집은 마치 그 모습이 산과 같다. 곳에 따라서는 중세 ... ...
단백질 입체구조 밝혀 신약개발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만들어진다.결정 만들기가 성공의 관건 아미노산이 길게 배열된 것을 1차 구조, 이것이
병풍
이나 코일 같은 모양을 만든 것을 2차 구조라고 한다. 2차 구조가 접히고 꼬이면 입체적인 3차 구조다.단백질은 이같은 입체구조가 돼야 생리적 기능을 할수 있다. 어떤 단백질은 같은 구조가 2개 이상 모인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또한 이 둘은 3차원 구조도 달랐다. 정상 프리온이 나선 모양인데 반해 감염 프리온은
병풍
모양이었다. 이런 차이 때문에 감염 프리온은 정상 프리온보다 쉽게 막대 모양의 섬유구조를 형성하거나 자신들끼리 뭉쳐 플라그라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팻 몰스가 전자현미경으로 본 섬유구조도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형성된다. 수소를 매개체로 형성되는 수소결합은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실크는 마치
병풍
처럼 튼튼하고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된다. 실크가 물에 다시 녹지 않으며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진 실크의 비결이다.실크 형성 메커니즘은 실험적으로 누에 실크를 이용해 입증됐다. 농축된 실크수용액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국보 78호),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국보 217호), 단원 김홍도의 ‘신선도
병풍
’ 등이 포함돼 있었다.1990년대 이후엔 일부 몰지각한 골동상들이 중국 길림지역에 공장을 차려놓고 가짜 불상 등을 만들어 마치 북한의 문화재인 것처럼 가장해 국내로 들여오는 경우가 늘고 있다.가짜는 옛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천지가 보인다.” 그렇게 천지는 자신의 속내를 보여준다. 반대편 북한쪽의 천지안쪽
병풍
처럼 둘러선 기암절벽, 기슭에 난 파란 풀들 그리고 쪽빛으로 빛나는 천지의 호숫물.차안에서 하늘이 걷히기만 기다리던 많은 사람들이 환성을 듣고 달음박질로 올라올 때쯤 다시 폭포가 있는 곳과 그 ... ...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옥빛 물결, 그리고 강 양안의 깍아지른 기암 절벽과 가파른 청록빛 산봉오리들이
병풍
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한폭의 실물 산수화는 보는 이로 하여금 세속의 사악함을 떨치게 한다. 비 그친 후 잔운(殘雲)이라도 남아서 봉오리들 사이 골짜기로 흘러내리면 그 누구든 시인이나 화가가 돼버린다.정선읍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길에는 한가로운 전원풍경이 펼쳐지고 멀리 눈 덮인 알프스가 보였다. 이를 중심으로
병풍
처럼 높은 산맥이 둘러쳐 있었는데, 쥐라산맥이라고 했다. 공룡의 시대였던 쥐라기의 바로 그 ’쥐라’였다. 생각해 보니 쥐라기는 이 산맥이 형성되던 시기와 같았다.20여분쯤 달렸을까. 프랑스 국경을 넘어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닥친 2000년대 우리 집은 이렇게 변한다. 이는 소설이 아니라 사실이다.나지막한 언덕을
병풍
처럼 뒤에 두르고 워싱턴 호수와 유니언 호수를 바라보고 있는 일명 ‘호수 위의 집’. 태평양에서 올라오는 연어들이 알을 낳는 호수가 집 안 어디에서나 한눈에 들어온다. 배를 타고 호수를 가로질러 1층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