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칸막이
칸막이벽
침병
가리개
발
막
휘장
뉴스
"
병풍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익은 달걀은 왜 단단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29
수 있어요. 아미노산이 일렬로 쭉 나열돼 있는 형태를 1차 구조, 1차 구조가 나선형 또는
병풍
구조로 접힌 것을 2차 구조로 분류합니다. 또 2차 구조가 더 복잡하게 꼬인 것은 3차 구조라고 하며 2개 이상의 3차 구조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4차 구조라고 합니다. 상온에서 날달걀은 접혀 있는 구형의 ... ...
[표지로 읽는 과학]올해 최고 연구 성과 '로제타폴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9
지폐들은 단백질 2차 구조를 나타내는 '구불구불한 사슬(알파-나선구조)과 화살표(베타
병풍
구조) 조합'이다. 이 2차 구조들이 모여 3차 구조를 이룬다. 이 3차 구조들이 접히거나 결합한 4차 구조가 효소 등으로 실제 기능을 한다.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단백질설계연구소(IPD) 소장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누리호 발사와 대통령의 이벤트
2021.11.03
되었다. 엎친 데 덮친다고 100여 명의 연구원들이 대통령 메시지 발표의 배경화면용
병풍
으로 동원됐다는 어느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우주센터의 상황통제실도 메시지 발표용 단상을 마련하는 일에 더 분주했다는 소문도 있었다. 그런데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직접 나서서 정제되지 않은 거친 언어로 ... ...
[과학촌평] 누리호 발사는 ‘이벤트’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현장에 있지 않고서는 알 길이 없다. 조금 더 생각해 보면 실제로 과학자들을
병풍
으로 동원했다고 하더라도 누리호 발사 성공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게다가 누리호 개발은 문재인 정부만의 성과가 아니다. 개발사업이 착수된 2010년 이전부터 기초연구와 사업 기획 등이 이뤄진 장기 사업이기 ... ...
[표지로 읽는 과학]얽히고설킨 단백질 구조를 수 분만에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구조를 예측하는 모습을 일러스트로 상상했다. 그림 안쪽에 나란히 서 있는 화살표(베타
병풍
구조)와 구불구불한 사슬(알파-나선구조)은 단백질의 2차 구조를 나타낸다. 이 2차 구조들이 이온결합이나 공유결합, 소수성결합, 이황화 결합 등으로 이어지거나 이온끼리 반발작용을 일으키면서 3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결합으로 연결된 사슬(폴리펩티드)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사슬의 구조가 나선형 또는
병풍
형임을 제시한 것이다. 단백질의 대표적인 구조가 용수철처럼 꼬여 있는 나선형이라면 다른 중요한 생물학적 분자도 나선형이 아닐까 라고 자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전물질의 실체로 지목된 ... ...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본 화산섬 제주…28~30일 '탐험대학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01
문경수 씨가 진행을 맡았다. 중문 대포포구에서 출발한 요트가 바다로 나아가자
병풍
처럼 펼쳐진 주상절리의 모습이 보였다. 거대한 해안절벽에 부딪친 파도가 하얗게 부서지는 모습을 뒤로 하며 요트는 점점 더 먼 바다로 나아갔다. “제주도는 화산섬이에요. 방금 지나친 주상절리는 화산 ... ...
비밀기지 방불케 하는 세계 최대 지하실험실 그랑사소 연구소(영상)
2019.06.01
묵은 이끼가 낀 서늘한 동굴 속, 어른 키 네다섯 배는 되는 철문이
병풍
처럼 접히며 열렸다. 이윽고 고개를 젖혀도 끝이 잘 보이지 않을 만치 거대한 실험시설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흡사 영화 속 미래 지하도시를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이탈리아 반도의 아름다운 산줄기 아래 지하터널로 10㎞ 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비유하면 렌즈가 탁해진 것처럼 보인다. 미국국립보건원 제공 아밀로이드 베타-
병풍
구조 확인 백내장은 수정체가 뿌옇게 돼 빛이 망막까지 제대로 이르지 못해 실명에 이르는 질환이다. 카메라로 비유하면 렌즈가 탁해진 것이다(영어로 수정체가 lens다). 수정체는 홍채(조리개에 해당)를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1관.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이다
2018.09.21
없다. 하지만 마을 북쪽에 조성한 이 마을숲이 마을로 불어 닥치는 매서운 찬바람을
병풍
처럼 막아준다. 뿐만 아니라 센 바람 때문에 생기는 화재도 막아준다. 여름철에는 몬순 기후에 의해 생기는 집중 호우(장마) 때문에 하천이 자주 범람해 마을에 수해를 입혔는데, 이 또한 마을숲이 물의 범람을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