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퇴
거역
퇴보
퇴행
뒷걸음
상반
불찬성
d라이브러리
"
역행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4. 기억이 안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현상을 건망증후군이라고 한다. 어느 사건이 일어난 시점 이전(선행성 건망증)이나 이후(
역행
성 건망증)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다.앞의 사례와는 달리 이 증후를 가진 대부분의 환자는 자신의 기억장애에 대해 깨닫지 못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건망증후군은 대체로 갑자기 발병해 만성으로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비록 완전한 3차원 공간의 나선운동은 아니었지만 지그재그 수로에서 물의 흐름에
역행
하는 에너지가 응집해 그 힘으로 나무 윗부분이 떠올랐다는 것이다.샤우버거의 수로는 1951년까지 유럽 각국에서 사용됐는데, 이에 대한 기록 필름도 남아 있다. 하지만 삼림이 지나치게 훼손된다는 점 때문에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미 다 날아가고 오직 하나 만이 맨 밑에 남아 있었는데 그것은 '희망' 이었다. 순리를
역행
한 결과인간은 오랫동안 나무나 동물의 분뇨 등 자연에서 에너지(불)를 얻었다. 인간은 불로 정교한 도구를 만들 수 있었고 일상적인 일 뿐만 아니라 토지를 경작하는 어렵고 힘든 일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수 있었기 때문에 점차 삼남지방에 널리 받아들여졌다. 보는 물의 자연적인 흐름에 크게
역행
하지 않는 수리시설이었다.보에서 물길을 논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나무로 만든 홈통을 이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나무 홈통은 낙차가 큰 개울에서 간단히 물을 논에 끌어들이기 위한 장치로 이용할 수 ... ...
1. 에볼라는 유행성 출혈열의 일종-사망률90%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이같은 현상 때문에 HIV와 같이 RNA가 DNA로 바뀌는 바이러스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
역행
한다는 뜻)라고 한다. 형성된 두 가닥의 DNA는 핵 안으로 들어가서 세포 DNA에 끼어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바이러스의 삽입효소(integrase)가 작용한다. 그 결과 HIV DNA는 세포 유전물질과 구별할 수가 없어진다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바꾸어가며 섹스를 하는 것은 아니다. 아마 곤충들에게 순결을 지키라는 설교는 자연에
역행
하라는 선동과 같다. 요즘 우리 사회에 만연된 성도덕의 타락은 어쩌면 자연환경이 극도로 오염되면서 잠재해 있던 원시적 본능이 표출되는 것은 아닐지…. 그게 걱정이다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영추편에는 "영기(營氣)는 혈맥 속을 밤낮없이 빙빙 돌고 있으며 이를 멈춘다거나
역행
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말이 수록돼 있다. 이론보다는 실천기를 이야기하면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할 문제는 실천의 문제다. 서양에서는 '보이는 세계'에 살고 있는 인간은 자신들의 힘으로는 '보이지 않는 ... ...
카타스트로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제격이었을 텐데 불행하게도 군사정권이 들어섰다. 톰의 (표 2)로 본다면 그것은 역사의
역행
이었고 결국 현재의 문민정부(민주정부)는 필연적이었다.그러나 수학의 역사가 알려주는 바와 같이 새로운 수학이론이 등장할 때 그것에 지나친 기대를 거는 일은 삼가해야 한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이라고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부른다.장주기 혜성은 거의 모두가 대혜성이며 밝다. 궤도 경사각도 크고 그 중에는
역행
하는 (태양계 행성과 다른 방향으로 도는 것) 것도 있다. 이들은 원일점 위치에 따라 토성족 천왕성족 해왕성족으로 분류한다. 수개의 혜성이 동일 궤도 상에서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혜성들을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서에서 동으로 나아가다가(순행) 갑자기 서는가하면(유) 다시 동에서 서로 후퇴하는(
역행
)등의 운동을 설명하기가 어려워졌다. 폴란드의 북부 토론에서 태어난 코페르니쿠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에 근거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체계를 부정하고 1515년경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구조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