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퇴
거역
퇴보
퇴행
뒷걸음
상반
불찬성
d라이브러리
"
역행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이라 하고, 뒷걸음치는 것과 같은 반대방향의 운동을
역행
(逆行)이라 한다. 또 순행에서
역행
으로 넘어갈 때와 다시 순행으로 돌아올 때에 잠시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는데 이것은 유(留)라고 한다.그것은 우리가 다른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태양을 중심으로 운동하고 있는 지구 ... ...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지구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그렇게 보일 뿐이다. 이를 행성의
역행
운동이라 한다.독자들은 내년 5월에 접어들면서 혜성의 움직임에 심상찮은 변화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혜성은 목성의 중력권으로 접어들면서 급속도로 목성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백mm 이상의 망원렌즈로 쉽게 훌륭한 모습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91년 목성이 게자리에서
역행
과 순행을 반복하며 프레세페에 접근했을 때를 참고해 보면, 심지어 50mm의 표준렌즈로 15초 정도의 노출을 주어 찍어도 프레세페의 윤곽과 화성의 존재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귀여운 게자리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행성이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적경은 감소한다.■유/순행에서
역행
으로, 또는
역행
에서 순행으로 옮겨가기 직전 잠시 천구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상태다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기록이 될 것이다.■ 최고의 관측 적기가 되는 화성쌍둥이 자리를 빠져나온 화성은 이달
역행
에서 순행으로 돌아서 다시 쌍둥이 자리를 가로지를 준비를 한다. 초저녁에도 충분한 고도에 위치하고 아직까지 깨끗한 하늘상태를 유지하는 겨울이므로 훌륭한 상태의 상을 기대해 볼만하다.■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가죽 등이 약용 장식품 공예품 등으로 수입되고 있다. 말하자면 국제적인 흐름에
역행
하고 있는 것이다.최근 정부의 강력한 시책과 업계의 자숙으로 이 동물들의 거래건수가 감소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아직도 근절되기까지는 요원한 실정이다.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서 정부는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앞으로도 훨씬 많은 연구가 축적돼야 한다. 렌즈제작자들은 렌즈의 자연스런 회전을
역행
시키고 두군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의 아랫부분을 두껍고 무겁게 만들고 있는데, 착용자들은 대부분 이것이 불편하다고 느낀다.노안을 교정하기도노안을 콘택트렌즈로 교정하기 위해 두개의 완전히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새벽에 볼 수 있다( )3. 외행성의
역행
은 합의 위치에 있을 때 일어난다.( )4. 외행성의
역행
은 행성이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을 때 일어난다.( )5. 외행성은 충의 위치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 )6. 회합주기가 가장 큰 행성은 명왕성이다.( )7. 행성은 주로 은하수 속에서 발견된다.( )8. 남극 지방의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시점에서 학과를 세분화하고 대학 진학과 함께 자신의 전공이 결정되는 것은 시대에
역행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더군다나 이렇게 결정된 전공이 평생토록 꼬리표로 붙어 따라다니는 우리 현실에서는 더욱 그렇다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준비해 2, 3일 간격으로 별자리와의 상대위치를 표시해 나가면 별자리 사이를 순행
역행
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는 태양 위치 기준이다. 일출 일몰전 30분 또는 1시간 전을 기준으로 해 매일 또는 2, 3일 간격으로 방위각과 고도를 기록하면 태양과의 위치변화를 알 수 있다. 만일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