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꽃을 포함한 모든 부분에서 발광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발광식물이 탄생했습니다. 이후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종의 발광식물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진행 중인 발광식물 연구도 네오노토파누스 남비의 유전자를 활용한 발광식물 연구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제가 개발한 발광식물 1 ... ...
- [과학뉴스] 일본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정에서 많이 흡수되는데, 진원이 얕으면 충격이 고스란히 땅에 전달되죠. 첫 지진 이후 이시카와현에는 높이 5m의 쓰나미가 발생했고, 이틀간 규모 1 이상의 여진이 218회나 발생했어요. 지진의 여파는 우리나라에까지 미쳐, 강원도 묵호항에서도 높이 0.8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지요. 교토대학교 ... ...
-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발전해, 1970년대에는 아마추어 체스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이후 1989년 미국 컴퓨터 회사인 IBM은 본격적으로 체스 컴퓨터를 개발하기 시작해 ‘딥 블루’라는 슈퍼컴퓨터를 만듭니다.1996년 2월 10일, 딥 블루는 미국 필라델피아 주에 있는 경기장에서 당시 세계 체스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하지만 맞지 않는 현상이 늘어나며 천동설은 갈수록 복잡하게 변해 버렸어요.이후 16세기,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코페르니쿠스는 하늘이 아니라 지구가 움직인다는 지동설을 처음으로 주장했어요. 지동설은 천동설에 비해 아주 단순하게 세상을 설명할 수 있었지요. 하지만 사람들은 전혀 움직이지 ... ...
- 야구 지표로 보는 2023 영광의 얼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투수로, 2023시즌 8승 8패, ERA 3.72, WAR 2.51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냈다. 이에 류현진 선수 이후로 17년 만에 한화 이글스에서 신인왕을 차지한 선수가 됐다. 평균 구속 151.6km/h인 그는 아직 20세로 어린 만큼 앞으로 더 빠른 공을 던질 수 있는 잠재력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 선수는 국제 경기에서도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석사와 컴퓨테이셔널디자인(Computational Design)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UX, 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용자를 유인하고 현혹하는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 ...
- [과학뉴스]작고 빠른 소금쟁이 로봇 비결은 형상기억합금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액추에이터의 소재는 형상기억합금을 썼다. 형상기억합금은 가열하면 모양이 변하고, 이후 온도 등 조건이 맞으면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간다.연구팀은 매우 얇은 형상기억합금 전선으로 액추에이터를 만들었다. 전선에 전류를 통하게 해, 전선의 온도를 변화시키며 로봇을 움직이게 만든 것이다.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책 ‘코스미그래픽’의 저자 마이클 벤슨은 이 그림을 두고 “당시 기준에서만이 아니라 이후 1세기가 더 지날 때까지 태양 흑점을 묘사한 가장 세밀한 작품”이라고 평한다.인간이 그린 흑점, 인간이 만든 슈퍼컴퓨터가 그린 흑점을 비교해 살펴보자. 130년 사이 기술의 발전과, 예나 지금이나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표시합니다. 먼저 창욱이 미래, 태희, 소연 이렇게 3명과 서로 안다고 가정해 보죠. 이후 ‘창욱-미래-태희’가 서로 알게 되면 증명이 너무 쉬워지니, ‘미래-태희’를 서로 모르는 사이이라 둡시다. ‘태희-소연’, ‘미래-소연’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차, 이렇게 하니 결국 ‘미래-태희-소연’이 ... ...
- 엄청나게 작고 엄청나게 안전한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정보를 저장하는 게 새로운 기술은 아니야. DNA는 지구에 생명체가 등장한 이후 수십억 년 동안 쭉 생물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물질이었거든. DNA 저장 장치가 기존 저장 장치와 무엇이 다른지 비교해 볼까? 첫 DNA 저장 장치 출시! 지난해 12월, 프랑스의 바이오 기업 바이오메모리는 DNA 저장 장치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