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젖"(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연구팀은 수유를 끝낸 암컷 박쥐를 대상으로 최고 속도를 알아봤어요. 박쥐는 새끼에게 젖을 주는 수유기가 끝나면 몸이 가벼워져 더 빨리 날 수 있거든요. 1962년에도 속도를 측정했는데, 이때는 시속 95km 정도였지요. 연구팀이 몸이 가장 가벼운 브라질큰귀 박쥐를 골라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돌고래, 상괭이 ‘서남해에 사는 인어 가운데 상광어(상괭이)가 있다. 사람을 닮아 두 젖이 있다.’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었던 정약전이 쓴 에 나와 있는 설명이에요. 사람들은 이 문장을 두고 ‘상괭이’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토종 돌고래라고 설명하고 있지요. 하지만 ...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관찰했다.그 결과 모유에서 바로 전달된 결핵균 항체가 금방 사라졌는데도 불구하고, 젖을 뗀 생후 12주 된 새끼의 림프절에서 새로운 결핵균 항체가 생성됐다. 이 효과는 생후 1년까지 지속됐다. 연구팀은 새끼의 림프절이 모유에서 전해진 결핵균 항체의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에는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정적으로 많이 먹었기 때문에 생산력 계수를 키울 수 있었다고 추정했다. 실제 고래 젖에는 인간의 모유에 비해 지방질이 20~30배 더 많이 들어 있다.고래가 육상 포유류보다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또 있다. 바로 거구를 지탱해줄 수 있는 부력이다. 부력은 물체를 액체 속에 넣었을 때 그 물체를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좀 부탁해.다들 이미 날 잘 알고 있겠죠? 저는 물고기를 닮았지만 새끼를 낳고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포유류예요. 물고기라고 하기엔 덩치가 큰 편이죠. 가장 작은 쇠향고래가 몸길이 2.6m, 몸무게 135kg이고, 가장 큰 대왕고래가 몸길이 34m, 몸무게 190톤 정도니까요.여러분이 말하는 ‘고래’는 ...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새끼가 태어나면 4개월 동안 해안가에서 무리를 이루고 살아요. 그 동안 새끼 물개는 젖을 떼기도 하고, 수영하는 법을 배우기도 하죠. 이때 수백 마리의 남극물개가 해안가에 머물기 때문에 그 중에서 어미와 새끼 물개들은 서로를 잘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소리를 이용한답니다.최근 파리 11대학의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많고, 토마토에도 많습니다. 심지어 모유에도 많고요. 최 이사는 “우리는 엄마의 젖으로부터 단백질, 글루탐산, 감칠맛을 좋아하도록 훈련받는 셈”이라고 말합니다.여기서 MSG의 최대 논란이 시작됩니다. 비판하는 측에서는 조미료에 들어 있는 MSG는 자연에 존재하는 글루탐산과는 다른, ... ...
- [과학뉴스] 소의 ‘메탄방귀’ 줄이는 신물질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방해하는 물질이다. 실험결과 이 사료를 먹은 소는 메탄가스 배출량이 30%나 줄었다. 젖 생산량이 줄거나 소가 사료를 거부하는 부작용도 없었다. 대신 다른 소에 비해 체중증가율이 80%나 높아졌는데, 연구팀은 메탄가스 생성에 들어갈 에너지가 영양분으로 흡수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리스토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자르면 우유나 양젖 같은 흰 액체가 나온다. 그래서 약재로 사용하는 더덕 뿌리를 ‘양젖 같은 흰 액체가 나오는 뿌리’라는 의미에서 양유근이라 부른다.더덕은 향이 진한 작물이다. 위나, 폐, 신장 같은 내장 기관을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고 알려져 있어 야생에서 오래 자란 더덕은 산삼과 맞먹을 ...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사람들은 맛있는 고기와 폭신한 털, 치즈나 버터 등의 유제품을 만들 수 있는 젖을 얻기 위해 양의 품종을 늘려 왔지요. 그 결과 지금 지구상에서 살아가는 양의 품종은 무려 1000여 종류랍니다.양과 염소는 생김새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워요. 둘 다 소과에 속하고, 비슷한 시기에 가축화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