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라
제주도
제주자세
자세
제창
제사술
d라이브러리
"
제주
"(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연결된다”고 했다. 이어 “현재 새우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며 “
제주
도와 같은 자연을 보러 갈 때는 자연보호를 항상 염두에 두며 에코투어리즘을 실천해달라”고 했다. 에코투어리즘은 친환경 관광을 통해 도시와 지역사회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관광 형태다. 여행으로 인한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위치
제주
도
제주
시 하정주 매니저위쪽 지역보다 비교적 따뜻한 기후의
제주
도에 있는 참새는 겨울 솜털이 적은 것 같아요! 조류 김예담 대원 | 딱정이 팀탐사 생물 나팔고니발견 위치 캐나다 델타 하정주 매니저멀리 캐나다에서도 탐사 기록을 남겨주었네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계속 플라스틱 분리배출을 실천할 거예요. 줍깅탐사권은세 기자
제주
바다 줍깅
제주
세화 바다에 쓰레기가 많아서 약 4평을 줍깅하였어요. 한자로 써진 쓰레기들도 있었어요. 인근 나라에서 떠내려온 것으로 추측돼요. 전세계적으로 쓰레기를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출발했습니다. 누가 먼저 도착했을까요? 정답은 ‘거의 동시에’입니다. 서울과
제주
도 사이의 거리가 부산과의 거리보다 훨씬 더 멀 텐데 시간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니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는 두 경로에서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과정이 조금 다른 데다 날아야 하는 하늘길의 거리가 비슷해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제주
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CaCO3) 성분의 광물을 만들어서 자신을 보호하는 ‘석회조류’가 있습니다. 동해안이나
제주
도 해안가에 가면 볼 수 있는 붉은색 바위가 바로 홍조류인 석회조류가 암석에 붙어 자라는 모습이지요.홍조류가 돌에 붙어 자라며 축적한 탄산칼슘이 나중에 돌멩이처럼 단단하게 굳어진 것을 ... ...
제주
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제주
도의 미개방 동굴도 탐험했다. 이 내용은 과학동아 7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이번 ‘
제주
바이오블리츠 캠프’에서 기록한 생물들은 iNaturalist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유방암 환자를 위한 소통 창구였다. 정 조직위원장은 “코로나19 이전에는 학술대회가
제주
에서 주로 열려 환자들은 참석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오프라인에 온라인 한 스푼 하이브리드 학회온라인 중계는 ‘국제’ 행사를 여는 데도 역할을 톡톡히 했다. 짧은 일정으로 해외 방문이 힘들 었던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세계를 누비는 탐험가 벤 호튼이 지난 5월에는 NGS
제주
허브의 도움으로 과학동아와 함께
제주
도 용암 동굴을 탐험했다. 벤 호튼이 탐사하면서 촬영한 사진을 보며 그의 경험을 간접 체험해보자. 인터뷰_ 벤 호튼 탐험가모험가라는 단어는 나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단어다. 과학에 관한 열정과 ... ...
[한 장의 기후위기] 바다 위에 붙은 석회조류 '갯녹음', 바다를 덮은 하얀 사막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보이기 시작한 건 비교적 최근 일이다. 2021년 환경운동 시민단체인 ‘녹색연합’이
제주
조간대에서 갯녹음 실태를 조사한 결과 200개 지점 중 198곳에서 갯녹음 현상이 발견됐다. 조간대의 갯녹음을 조사한 첫 번째 사례다. 신수연 녹색연합 해양생태팀장은 “한동안 갯녹음 현상은 많은 이들의 ... ...
[인터뷰] "남극이라는 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서울대 교수님의 성을 따 ‘하’, 미생물이 발견된 지역인 ‘
제주
’를 붙여 ‘하헬라
제주
엔시스(Hahella chejuensis)’로 발표했어요.” 2007년에는 국내 최초로 여성 극지연구소장이 됐다. 아직 극지에서 겨울을 보낸 경험이 없다는 염려의 목소리도 있었지만, 당시 그는 우수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