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주"(으)로 총 574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은 11월 3일 누리호 발사 조사위원회를 발족했습니다. 항우연 연구팀은 나로우주센터와 제주, 팔라우 추적소에서 계측한 2400여 개 비행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누리호의 실시간 비행 상황을 파악한 주요 원격수신정보(QLM)을 두고 논의한 결과 1, 2단 비행 때까지만 해도 추진제 탱크 압력과 엔진이 ...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수학동아 l2021년 11호
- 훌쩍 여행을 떠나고 싶은데요, 제가 예전부터 눈여겨보던 여행지가 있습니다. 바로 ‘제주 김녕 미로공원’입니다. 상록수로 이뤄진 미로를 탈출하다 보면 숲의 정취에 흠뻑 젖을 수 있지요. 미로에서 헤매면 어쩌냐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퓨처킴은 미로 탈출 꿀팁을 알고 있답니다! 본인이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현황판에 이름을 쓰고 기록을 증명하면 노트 등 리워드를 받을 수 있지. 광주, 전라도, 제주도 지역 동물원은 한 곳만 조사가 됐어! 이 지역 동물들을 도와줘! 김예담 대원경기 모 동물원 토끼동물이 실내에 살고 있나요, 실외에 살고 있나요?실외동물들은 종마다 다른 환경이 필요해요. 각 종의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트윈과 경제 시스템! 온-오프라인에 똑닮은 풍력 발전 ‘쌍둥이’가 있다?2월 4일, 제주 탐라해상풍력단지의 디지털 트윈이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한 간담회에서 소개됐어요. ‘디지털 트윈’은 실제 사물과 똑같은 쌍둥이를 컴퓨터에 만들어, 현실에서 발생할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결과를 ... ...
- 기술로 모빌리티 효율 극대화하다│위현종 쏘카 전략본부장(CSO)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함께 2020년 5월부터 제주 공항에서 쏘카스테이션 제주까지 운행했다. 2021년 하반기에는 제주공항부터 중문단지까지 편도 38km를 오고 가는 유상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선정한 국내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중 최장거리이며 육거리까지 있을 정도로 도로가 굉장히 복잡한 구간이다. 20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논의를 거쳐 내년 확정 고시되고 2025년부터 학교현장에 적용됩니다. 서울, 인천, 부산, 제주교육청 등은 고교에서 2학기부터 ‘인공지능 기초’, ‘인공지능 수학’을 진로 선택 과목으로 운영하도록 했습니다. ‘인공지능 기초’는 인공지능 자체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과목으로 기술가정 진로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흘렀을 것으로 추측되는 지역의 수심 30~50m에서 여러 모래 능선이 평행하게 나타났고, 제주도 서쪽에서는 수심 80~110m의 비교적 두꺼운 모래 능선이 나타났다. 이 지역은 구황허강 또는 대(大)한강이 흘렀을 것으로 추측되는 곳으로 모래 함량이 80% 이상이었다. doi: 10.1016/j.marpetgeo.2016.03.005하지만 ... ...
- [기획] 얼매나 소중한 긴데!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안녕? 나는 세종. 2021년 대한민국에서 사투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한글을 사랑하는 나, 세종이 가만히 있을 순 없지. 그런데 사투리를 왜 지켜야 하냐고? 어허! 이거 안 되겠구만! 사투리가 얼마나 소중한 건지 알려줘야겠군!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얼매나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사투리’라는 음반도 냈지요. 이 음반엔 각 지역의 사투리로 작곡한 노래가 수록됐어요. 제주도 토박이가 허술한 솜씨로 전국의 사투리를 노래했는데, 이 노래를 들은 각 지역 음악가가 발전시켜주길 바라요! ● 인터뷰 ② "사투리는 문화를 담는 그릇이에요!"최현애 (도서출판 이팝 대표)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연구에 따르면 229일이 지나면 오염수가 제주도에 도달합니다. 방출될 때의 농도가 1이면 제주에 도착할 때쯤엔 1천조분의 1로 낮아진다고 합니다.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연구 중입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바다 근처에서 주기적으로 바닷물 시료를 채취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