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석"(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본인이 증명했지만,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증명 내용을 적을 수 없다’고 주석만 달아 놓았다. 이후 수백 년간 풀리지 않던 이 문제는 350년이 지나서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연구소 앤드루 와일스 교수가 증명해낸다. 일개 대학 신입생이 A4용지 1장 분량으로 풀 수 있을 리 없다.‘P=NP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런 내용으로 빼곡하다.이 씨는 자신의 연구가 비거에 대한 현대 항공공학자의 세련된 주석으로 읽히길 바란다. “저는 문제를 제기한 거지 결론을 내린 게 아닙니다. 아마 무리한 부분도 있겠지요. 누군가 제 아이디어의 한계를 제기하고, 그렇게해서 잊혀진 비거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면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최근 박재학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선박 도료에 포함된 주석 성분(Trimethyltin chloride)을 섭취한 제브라피쉬가 낳은 알을 관찰한 결과, 기형 개체가 많다는 것과 신경 발달이 억제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독성학 및 기형학’ 2015년 12월 10일자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따라가느라 학과 공부도 접고 책에 매달렸다. 1999년에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 주석본이 새로 출간됐을 때 해밀턴이 뒤표지에 실은 헌사를 보자. 『이 책은 내 케임브리지대 학사 과정 전체와 맞먹는 중요성을 지닌다. 이 책에 투자한 시간으로 인해 내 졸업 평점이 아마도 한 등급은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석기시대에 이어 금속시대로 문명의 진화를 이끈 7대 금속광물이 있다. 금, 은, 구리, 납, 주석, 철, 수은이 그 주인공이다.특히 백연석의 주 성분인 납은 기원전 3500년경부터 인간 생활에 깊이 관여해온 금속이다. 납은 비교적 제련이 용이하면서도(산화 환원이 쉽게 이뤄짐) 풍부한 광물이고, 가공도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손톱이나 장갑도 인식한다. 이런 스크린은 저항막 방식이다. 투명 전도막(산화인듐-주석으로 만들어 전기가 통하는 얇고 투명한막) 두 장이 약 0.1mm 간격으로 겹쳐져 있는데, 평소에는 전기가 서로 통하지 않는다.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누르면 부드러운 위층이 구부러지면서 아래층에 닿아 전류가 ... ...
- [수수께끼 2] 모자 장수가 수학자라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까마귀와 책상이 서로 닮았다니 곰곰이 생각해 봐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미국의 퍼즐 전문가 샘 로이드는 이 수수께끼의 답을 찾기 위해 애를 쓰다가 미국의 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가 정답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책상에서 라는 소설을 썼기 때문이다.하지만 캐럴의 답은 따로 있었다.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캐럴은 숫자 42를 매우 좋아했다. 그래서 작품 여기저기에 42를 숨겨 놓았다. 대표적인 예가 장미를 빨간색으로 칠하느라 정신이 없는 트럼프 카드 세 장이다. 세 장에 그려진 숫자를 보면 각각 2, 5, 7이다. 이를 수학의 눈으로 보면 소수로 이루어진 수열에서 3만 빠진 형태다. 따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호기심 많은 소녀 앨리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묘한 이야기. 그 속에 말장난과 수수께끼가 뒤섞여있어 전세계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고전이 있다. 바로 다. 벌써 올해로 출간 150년을 맞았다. 의 150번째 생일을 맞아 그 안에 숨어있는 수수께끼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개수다. 이때 출처가 표시된 어절은 다른 글에서도 발견됐더라도 제외한다. 큰따옴표, 주석 등을 써서 다른 글에서 인용했다는 것을 밝힌 문장은 표절로 보지 않는다.표절한 정도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우연히 같을 수 있는 문장을 가려내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사람처럼 판단할 수 없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