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해
놋쇠
유철
주각
각주
기록
해설
d라이브러리
"
주석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남아있는 물감의 성분을 분석해 제조 과정을 추측하는 수밖에 없다. 합성 노란 안료는
주석
과 납의 합금인 안티몬산납과 백랍을 약하게가열해서 만들어지는 산화납으로 만든다. 특히 안티몬산납으로 만든 안료인 레드틴 옐로는 300년 가까이 사용되며 17세기 이탈리아 화가들의 작품에서도 발견된다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이 책이 말하는 ‘소진’과 ‘규율사회’의 철학을 이야기할 때, 강 작가는 말미의 작은
주석
에 주목했다. 거기에는 미국의 면역학자가 언급한 개념이 지나가는 말로 소개돼 있었다. “면역계는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는 게 아니라 우호적인 것과 위험한 것을 구분한다.” 강 작가는 그 면역학자에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있다면 현재는 누가 있을까요? 기자는 지금 ‘수학 문제 풀기’ 열풍을 주도한 장쩌민
주석
을 만나러 중국에 나왔습니다. 학생들은 대체 왜 쉬는 시간만 되면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일까요?장쩌민 : 허허허. 제가 낸 수학 문제 하나가 이렇게까지 화제가 될 줄 몰랐습니다. 지난 2000년에 포르투갈로부터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사실을 증명하여라’라는 문제였다.이 소식이 전해지자 한동안 중국은 각 학교에서 장
주석
의 기하 문제를 푸는 열풍이 불었다. 지도자의 관심이 학생들의 수학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원문에는 ‘사람’을 의미하는 인(人) 자가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읽는 주자
주석
의 논어는 이 대목을 사람이 아니라 학문과 진리에 대한 이야기로 푼다.질문에 답은 해야겠기에 “일본 학자의 독창적인 해석”이라고 하고 넘어갔지만, 문득 의문이 들었다. 나는 저 대목을 ‘알고’ 있던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 위성 vs 장거리 미사일 발사북한이 김일성
주석
100회 생일에 맞춰 4월 12~16일 사이 ‘광명성 3호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혀 국제사회에 파장을 일으켰다. 광명성 3호 발사에 국제 사회가 술렁이는 까닭은 위성 발사 기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목적으로 음(音)을 기록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97년 원통에 감은 얇은
주석
판 위에 진동판의 작은 바늘로 음파에 상응하는 홈을 새기고 이것을 동일한 장치로 재생해 음을 내는 데 성공한다. 이것이 축음기의 시초다.현대에는 난청인 사람들을 위해 많은 장치들이 개발됐다. 양쪽 귀가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전극이 필요하다. 현재 널리 사용하는 투명전극은 산화인듐
주석
(ITO)인데, 지금까지 개발된 재료 중에서 가장 투명하며 전기가 잘 통한다. ITO를 가공할 때 펨토초레이저를 사용하면 유리에 손상을 주지 않고 매우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과거에도 펨토초레이저를 사용한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오늘날 화장품에서도 녹말이 같은 용도로 쓰인다. 또 이 화장품에는 석석, 즉
주석
의 원석이 포함돼 있다. 이는 크림을 희게 만들기 위한 처방이다. 실제 연구자들이 이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했더니 흰색이 나왔다. 고대 로마의 여성들이 흰 피부를 선호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화장품 중에는 2000년의 ... ...
브랜드 키우는 기업형 대학 중국 칭화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서열 2위인 우방궈 전인대 상무위원장, 차기 최고지도자로 유력한 시진핑 국가 부
주석
을 비롯한 중국 최고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중국을 쥐락펴락하는 이들의 공통점은 칭화대 동문이라는 것. 중국 최고의 명문대로 베이징대와 칭화대가 동시에 꼽히지만 칭화대 출신 지도자들의 활약으로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