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제"(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칼박자 천재드러머, 드럼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로봇공학과 음악을 접목했다는 임 연구원은 “드럼 로봇은 그 자체로 공학적인 연구 주제지만, 로봇의 연주를 본 사람들이 재미와 기쁨을 느끼는 모습을 보는 것이 좋다”고 전했습니다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탐사대장인 장이권 교수는지사탐이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장이권 교수는“첫 지사탐 활동은 80명의 어과동 독자가 모였던 비교적 작은 모임이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 3000명이 넘는 대원들이 함께하는 큰 프로젝트가 되었다”고 감회를 밝혔어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단어를 쓰죠. 사람들은 저마다의 행복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거예요. 선생님은 이번 주제를 준비하며 영화 의 주인공 캐스퍼가 떠올랐어요. 영화 속 캐스퍼는 한때 유명 레스토랑에서 성공한 주방장이었어요. 하지만 레스토랑 사장의 등쌀에 못 이겨 자신이 원하는 요리를 하지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책을 쓰고, 온라인 강연을 기획하고 촬영하는 데 여념이 없습니다. 가장 집중하는 주제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이용해 피보나치 수열을 구현하고, 소수 판별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등 수학적 원리를 알려주는 거예요. “어떤 일을 빠져들 만큼 사랑하려면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수학자가 증명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왔다. 증명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도구기 때문이다. 수학을 이해하기 ...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해요. 1월호에서는 ‘수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리씽킹을 마무리하겠습니다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였습니다. KAIST 학생들이 스탠드업 코미디 형식으로 실패 경험을 공유하는 행사입니다. 주제도 학업 과제부터 연애, 진로까지 다양했습니다. 학생들이 저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웃음으로 승화해보겠다는 행사에 대중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 실패학회가 진행된 11월 1일, 저녁 7시가 되자 KAIST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날아온 윔프가 여기에 부딪히는 시그널을 탐색하고 있다. 한편 중성미자도 중요한 연구 주제다. 중성미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다. 하지만 발견된 지 60년이 지나는 동안 그 질량조차 정확히 측정하지 못했다. 우주를 가득 메운 중성미자는 광자 다음으로 그 숫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런 한계에 부딪혔는지, 보다 본질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번 논문 주제의 출발점입니다.중앙집중형 시스템 vs. 분산형 시스템 현재의 관제탑처럼 모든 정보를 취합해 하위 존재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중앙집중형 시스템(Centralized system)이라고 합니다. 중앙집중형의 장점은 필요한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행평가여도 생물의 증식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인 ‘로지스틱 곡선’을 주제로 탐구해도 돼요. Q. 커서 어떤 일을 하고 싶어요?수학을 이용해서 인류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응용수학자가 되고 싶어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SEIR 모형’을 사용했어요. 이 모형에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하면 산성 용액에 내성을 갖는 코팅 기술을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새로운 연구 주제를 떠올렸다. 그리고 그 연구 중 더 두껍고 뻣뻣한 음모라면 산성 용액에 더 강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다소 민망한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 지대한 관심, 그러나 연구는 미진한 음모의 과학음모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