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제"(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날인 11월 3일, KAIST 학술문화관에선 ‘실패세미나: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루는 방법’이란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됐습니다. 리사 손 미국 컬럼비아대 버나드 컬리지 심리학과 교수와 김수안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가 강연을 맡았죠. 150석 남짓한 강의실에 KAIST 구성원이 빼곡히 앉았습니다. 김 교수는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합니다. 이 드넓은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과연 우리 하나 뿐일까요. 이번 달 독자기고 주제는 바로 이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선 과학을 좋아하는 편집부와 독자들이 매일 과학 이야기를 실컷 나누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를 소개하는 글도 자주 올라오죠. 10월 ... ...
- [전지적 독자시점]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하지만, 우리는 아직 실패에 익숙하지 않잖아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2월호 보고싶은 기사 투표에서 많은 분들이 ‘KAIST 망한 과제 자랑대회’를 골라주셨습니다. 기자들도 마찬가지였어요. 다들 되새길만한 실패의 씁쓸한 추억 하나씩은 품고 있 ... 똥, 오줌, 털 등을 전문으로 발제하는 기자가 있는데요. 이번 털 발제는 과연 누가 가지고 온 주제였을까요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스마트 변기의 궁극적 목표”라 말했다. 대소변은 이그노벨상이 특히 사랑하는 연구 주제다. 2005년 펭귄 똥 연구가 이그노벨상 유체역학상을 수상했고, 2015년엔 포유류 오줌 연구가, 2019년엔 웜뱃의 똥 연구가 각각 이그노벨상 물리학상을 받았다. (10) 코로나19 종식에 기여한 mRNA 백신, 노벨상 ... ...
- [기획]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문 씨의 말투에 웃음기가 묻어났지만 쉽게 웃을 수 없었던 이유는 이 이야기의 주제가 그가 어떻게 악성 뇌종양을 앓게 됐는지였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족 중 암 환자가 많아 자연스레 암 연구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는 그는, 2018년 폐암의 뇌 전이 연구를 하던 도중 쓰러지고 말았습니다. 우뇌에 직경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실패연구소에서는 지난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프로그램은 제약공학자 외에도 화학공학자, 의학자, 생명공학자 등 다양한 진로를 주제로 수업이 마련돼 있다. 그 외에 PCR 장비를 이용해 DNA를 증폭해보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우유 속 단백질의 양을 측정해보는 실험 등 다양한 심화수업이 있다. DNA 전기영동 실험을 기기 없이도 해볼 수 있는 ... ...
- [화보] 온 도시가 내 침대! 걸리버 고양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사진을 학교와 길거리, 우주 등의 배경 사진에 합성해 거대한 걸리버 고양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었어요. 걸리버 고양이들은 어디로 놀러갔을까요? 내 몸이 곤충처럼 작아지면 고양이가 얼마나 커 보일까? Q. 어떻게 고양이 합성 작품을 처음 만들게 되었나요? 제가 키우는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되어 볼 수도 있어요. 어떻게 하냐고요? 템플릿만 있으면 가능하답니다. ※ 편집자 주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본 연재물을 기획했습니다. 아이템 템플릿이란? ‘템플릿(template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메이지대 교수 공동연구팀호메이 미야시타 일본 메이지대 교수팀의 연구는 겉보기엔 주제도 의도도 결론도 정상적(?)이다. 이 연구팀이 작년에 발표한 발명품은 ‘싱거운 음식도 짜게 느끼는 젓가락’이다. 고혈압, 뇌졸중 등 나트륨 과다섭취로 인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짠맛을 더 강하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