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위"(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수 있고, 이는 극 소용돌이를 좀 더 지속적으로 약화시킬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한파가 중위도에서 좀더 자주 발생하고 강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물론 날씨는 북극 해빙단 하나로 결정되지는 않는다. 적도 엘니뇨나 계절 내 진동 등 수없이 많은 변수가 있다. 또 온난화가 지속되고 해빙이 훨씬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동토층에 구멍을 뚫어 토양 코어를 얻었다. 위성 원격탐사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화성의 중위도 지역에 폴리곤(polygon) 지형이 있다. 폴리곤은 표면이 마치 다각형 퍼즐처럼 조각나 보이는 지형으로, 지구의 북극에서 볼 수 있다. 그곳이 동토층임을 짐작하게 하는 흔적이다. 화성은 밤이면 온도가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평균 점수는 하트윅의 가장 상위권 학생들보다 뛰어나다.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대와 중위권 대학을 비교한 것이다. 그러나 정작 하버드대를 간 친구들이 졸업한 비율은 하트윅대와 거의비슷하다. 어떤 학교를 비교해도 이 비율은 비슷하다(미국은 입학했다고 해서 대부분이 졸업하는 시스템이 ... ...
- 지구온난화는 죄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때문에 북극 해빙이 녹고 결국 북극진동지수가 음수가 돼서 우리나라나 북미를 포함한 중위도 지역에 한파가 올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올해 한파는 좀 다르다. 북극진동지수는 올 1월 초에 약 -1.5, 1월 중순에는 +1을 기록했다. 평년대비 기온 편차도 2010년과 2011년 혹한 시기에 나타난 전형적인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진출한 직후에는 나타났어야 하는데 말이죠.학자들은 새로운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중위도 지방에 산 이후에도 인류는 사냥 등으로 고기와 생선을 풍부하게 먹었습니다. 이런 음식에는 비타민 D가 풍부했고, 굳이 피부로 합성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이미 피부에 있던 멜라닌 색소를 없앨 필요도 ...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환경학]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현실은 훨씬 더 극적이다. 13년이면 한반도 면적의 10배에 해당하는 숲 ... 1, 2위국은 러시아와 브라질이 차지했고, 한국은 서울 면적의 2배가 넘는 1463km2가 사라져 중위권인 84위를 차지했다 ... ...
- 4월, 더 독해진 황사에 대처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더러워져서 우리 몸에 해롭기만 한데 말이에요. 전영신 박사 지구 자전의 영향 때문에 중위도인 우리나라에는 편서풍이 불어요. 즉 동쪽 황사발원지에서 생긴 먼지들이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로 오기 쉽다는 이야기죠. 이런 황사가 우리 몸에는 해로운 물질이 될 수도 있지만 해양생물이나 ... ...
- 2013 눈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내린다. 눈이 많이 쌓이면 태양에너지를 반사시키는 비율이 높아져 우리나라가 포함된 중위도 지역에 한파가 몰아치게 된다. 차가운 공기가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만나 폭설을 일으킨다.폭설로 마비된 도로를 열어라!전 세계에 폭설이 점점 심해지는 만큼 눈을 치우는 제설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양의 값이면 제트기류가 북극에 가깝게 올라가고, 극진동지수가 음의 값이면 제트기류가 중위도 지역 쪽으로 내려왔다는 뜻이다.그런데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북극의 얼음이 많이 녹으면서, 바다의 성분이 얼음에서 물로 많이 변했다. 따라서 바다에서 많은 양의 수증기와 열이 올라와, 북극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흡수하는 양이 줄어들어, 시베리아 고기압은 더 세지기 때문이다.본래 겨울에는 중위도 지역의 기압이 시베리아보다 높다. 이 기압차가 바로 시베리아의 찬 공기를 막아주는 북극 진동이다. 그러나 눈 때문에 시베리아 지역의 기압이 높아지면 기압 차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서풍이 약해져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