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창시자"(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왕 일탈하는 김에 좀 더 맥주와 비슷하게 탄산을 쓰는 건 어떨까. 질소 커피의 창시자인 스텀프타운 커피 로스터스의 네이트 암브러스트 프로덕트매니저는 2015년 8월, ‘화학, 공학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에는 탄산으로 시도했지만, 곧 이것이 최악의 아이디어였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 ...
- [DJ CHO의 롤링수톤] 데이브 브루벡의 ‘테이크 파이브’ 새로운 리듬의 창시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5월, 봄입니다. 재즈의 계절입니다. ‘위플래쉬’와 ‘라라랜드’ 같은 재즈 영화가 흥행하면서 재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재즈는 폭발적이진 않지만 끊임없이 사랑받는 음악 장르지요.오늘은 꾸준히 사랑받는 재즈 명곡을 소개합니다. “백인이 재즈를 구했다.”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항공기의 헨리 포드이자, 위대한 항공기 제조사 파이퍼의 창시자 윌리엄 파이퍼는 “누가 이 녀석들 중 하나를 타다가 다쳤다? 그 사람 머리에 이상이 있는지부터 검사해 봐야 할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비행기를 대하는 사람들의 시선도 알 수 있다. 1950년대 후반에는 과거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달아 놓은 지도를 만들었다. 지도에는 고대 바빌로니아 이전 시대인 아카드 왕국의 창시자 사르곤 대왕의 원정 이야기가 기록돼 있다. 비록 일부가 부서져나갔지만, 가운데 둥근 동심원 두 개를 기준으로 사방에 7개의 삼각형이 있는 모양이다.그런데 보통 지도와는 조금 다르다. 바빌로니아인은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집트, 바빌로니아, 그리고 중국에도 삼각법에 대한 단편적 지식은 있었지만, 삼각법의 창시자는 기원전 150년경에 살았던 히파르코스다. 히파르코스는 원의 현을 설명한 12권의 책에서 각과 현 사이의 관계를 찾아 오늘날의 구면 삼각법 공식을 발견했다. 히파르코스는 이를 이용해 별이 뜨는 ...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UCLA) 로이드 섀플리 명예교수가 94세의 나이로 별세했습니다. 섀플리 교수는 게임이론의 창시자로 201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도 유명합니다.게임이론은 크게 협조적 게임과 비협조적 게임으로 나뉩니다. 그중 섀플리는 비협조적 게임이론에서 공헌을 남겼습니다. 수학자 데이비드 게일와 함께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승수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박사는 재미있는 기록을 소개했다. 이슬람교 창시자 마호메트는 100필의 말을 가두고 물을 주지 않다가 3일 뒤 풀어줬다. 냇가로 달려가는 말들에게 멈추라는 나팔을 불자 단 4마리의 말만 멈췄다. 이 말을 서로 교배했는데, 이들 4마리가 현재 아라비아 말의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지켜본 파브르의 고집스런 태도는 저도 본받고 싶습니다.”“한 마디로 곤충생태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죠.” 그때까지 아무 말 없던 C가 끼어들었다. “게다가 쉽고 아름다운 글을 남겼다는 걸 잊으면 안 돼요. 그 이전의 어떤 학자가 곤충의 생활사를 대중서로 썼나요. 곤충의 삶이 흥미롭고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철학의 아버지이자 해석기하학의 창시자인 르네 데카르트는 “물리학의 모든 대상은 기하학으로 환원된다”고 했다. 기하학은 당시 사람들이 수학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카르트 덕분에, 이후의 학자들은 놀라운 발전을 이끌게 됐다. 그 ...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는 대학원생 시절 세포 생물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조지팔레드 교수의 강연을 듣고 세포의 물질 수송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 췌장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신경세포가 시냅스라는 연결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