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창시자"(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선물포장을 빛내 주는 프뢰벨 스타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그래서 종이접기를 어린이들의 학습에 종종 활용했다. 비록 프뢰벨이 종이접기의 창시자는 아니지만, 종이접기의 교육적인 효과를 주장했기에 ‘프뢰벨 스타’라고 이름 붙은 것이다.독일에서 시작된 이 프뢰벨 스타는 유럽 각 지역으로 퍼져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생겼다. 덴마크에서는 ... ...
- INTRO. 올림픽, 0.04초의 과학 - 싸움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올랐다.그리고 런던은 올림픽을 세 번 개최한 세계 최초의 도시가 됐다.근대 올림픽의 창시자 피에르 데 쿠베르탱은 지금으로부터 104년 전인 1908년 첫 런던올림픽에서 ‘올림픽의 신조’를 발표했다.“올림픽의 의의는 승리가 아니라 참가 자체에 있다.그리고 올림픽의 본질은 정복하는 것이 ...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과학동아 l2012년 06호
- 1637년에 썼다. ‘해석기하학’과 더불어 오늘날 사용하는 ‘좌표평면’의 창시자로 유명하다.]지난 5월 15일 12년 만에 ‘악마’가 부활했다. 서울 왕십리 일대를 마비시켰다는 인기 게임 ‘디아블로3’ 이야기다. 그러나 악마는 종교나 신화, 게임에만 있는 존재가 아니다. 가장 합리적이라는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만다.이렇게 미세구조 상수는 우리의 존재 자체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양자전기역학의 창시자인 리처드 파인만도 이 상수의 미스터리한 면에 깊이 빠져 있었다. 파인만은 1985년 자신의 저서에서 α에 대해 “발견된 지 50년 이상이 흘렀지만 여전히 불가사의하며 어느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마법의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작은 집단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이 쉽게 사라져 단순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을 ‘창시자 효과’라고 한다. 예를 들어 복잡한 석기를 가공하는 능력, 좋은 돌을 찾는 방법 등이 전수가 돼야 하는데, 작은 집단에서는 쉽게 전수되지 못할 확률이 높다.두 번째 이유는 진화의 본질적인 요인인 ... ...
- 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없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확률론의 창시자 블레즈 파스칼입니다. 얼마 전 복권 당첨 확률을 높이겠다며 과거의 복권 당첨숫자를 통해 당첨 번호를 맞힌다는 어이없는 기사를 봤습니다. 과거의 당첨 번호에 어떤 규칙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수학적인 분석을 하면 복권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 같습니다. ... ...
- 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통계학에서 가장 중요한 정리를 남겼죠. 그래서 사람들이 저를 근대 확률론의 창시자라 부릅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자가 말하는 복권의 진실, 확률로 풀다!진실 하나! 복권의 조상은 도박이다!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진실 셋! 복권당첨 확률 높일 수 ... ...
- 최종병기 활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무예사에서도 궁술의 의미는 각별하다. 고구려의 주몽, 조선의 태조처럼 국가 창시자들은 뛰어난 명궁이었다. 그리고 조선시대 이수광이 지은 백과사전 ‘지봉유설’에서는 중국의 창법, 일본의 조총, 그리고 조선의 편전이 천하제일의 무술이라는 일본의 견해를 인용하며 적고 있다. 이렇듯 궁술은 ... ...
-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2×2=6점이지.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창의력 점수는 13+8+6=27점이야. 중독성 강한 15퍼즐의 창시자 샘 로이드(1841~1911)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미국과 유럽은 수학퍼즐 붐이 일었어. 이때 두각을 나타낸 퍼즐 제작자가 샘 로이드야. 그의 수학퍼즐은 수학이라면 혀를 내둘렀던 사람들까지도 빠져들게 ...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동아시아)’를 읽은 사람은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네트워크 과학의 창시자인 저자에 따르면 사람의 행동에는 패턴(규칙)이 있고, 심지어 예측도 가능하다. 아직 초창기 연구이기 때문에 거쳐야 할 산이 많지만, 사람을 보는 관점 자체에 변화를 몰고 올 수 있는 폭발력이 있으니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