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앰버라는 캐릭터가 워낙 열정적이고 폭발하는 특징이 있어서 레퍼런스 필름을 찍을 때 카메라 앞에서 소리를 치고 화도 내봤어요. 이렇게 화를 많이 내는 캐릭터가 나오는 작업은 처음이었거든요. 작업은 원소들의 움직임과 감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게 가장 어려웠어요.Q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하지만, 해양 생물이 사는 집이기도 해. 광물을 찾기 위해 깊은 바다로 잠수한 카메라에는 광물의 틈에서 사는 다양한 생물들이 포착되고 있지. 심해 생물들아, 광물을 채굴해도 괜찮은 거니? 결코 평범한 돌이 아니다!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CCZ)에는 망간 단괴만 있는 것이 아니에요. 망간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진행된 11월 1일, 저녁 7시가 되자 KAIST 창의학습관 1층에는 행사를 취재하기 위해 카메라가 늘어섰죠. 자녀를 데리고 온 일반 시민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진행을 맡은 학생동아리 ICISTS의 회장 김지환 씨(KAIST 새내기과정학부)가 “이번 행사에서 공유한 실패 사례를 통해 여기 계신 모두가 성공의 길로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맨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망토는 아니지만, 밤중에 병력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되지 않도록 만드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투명망토와 유사합니다. 그렇다면 관측 대상이 실제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만드는 기술도 가능할까요. 원리 자체는 간단합니다. 빛이 어떤 물질을 만나게 ...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등의 변수를 찾아내 D-H-M 모형을 만들었다. 이를 위해 동전에 직접 치실을 붙이고 고속 카메라로 관찰했다. 당시 촬영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동전이 얼마나 뒤집히고 흔들리는지, 또 얼마나 높이 올라가는지 잘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심지어 이 모형에 따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전 던지기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촬영한 등하굣길을 영상을 분석했어요. 초등학교 1~3학년 어린이 24명이 24일 동안 카메라를 머리에 착용하고, 등하굣길을 평소처럼 보행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죠. 영상 분석 결과, 전봇대와 우체통, 보도의 울타리가 어린이 보행자의 시야를 8% 넘게 방해했어요. 또 길에서 마주치는 수풀과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개발됐으나, 영상 센서와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우주 쓰레기를 탐지할 수 있게 됐다. 카메라의 기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보니 별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도 감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추가 전력 소모가 필요하다. 벨기에의 별 추적기 전문업체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500m에 도달하는 거였어요. 엔진은 스테인리스, 몸통은 아크릴이고요. 데이터 수집기와 카메라, 낙하산을 장착한 로켓이니 처음 종이로켓에 비하면 무척 발전했네요. 그런데 왜 1년 전 시점에 해결된 연료 문제가 발사를 방해한 건가요? 정승호: 습도 때문에 그래요. 장마철이어서 공기 중 습도가 무척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알림이 가능한 건 분석기 덕분이에요. 영상 분석 기업 핀텔의 황유동 연구소장은 “카메라가 1초에 30장씩 사진을 찍어 분석기에 보내면, 분석기는 사진들을 비교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를 통해 어린이보호구역 등에서 차량이 과속을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추할 수 있게 했다. 소변이 변기에 떨어지는 속도와 양은 1초에 240장을 찍는 고속카메라가 포착한다. 박 교수는 “이렇게 매일 모인 대소변 데이터로 번거로운 검사 없이 몸의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스마트 변기의 궁극적 목표”라 말했다. 대소변은 이그노벨상이 특히 사랑하는 연구 주제다. 200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