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대"(으)로 총 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찰흙을 이용하면 무엇이든 아이들이 상상하는 모습 그대로 만들 수 있겠죠. 그렇게 상상한대로 다 만들 수 있으면 좋겠지만 실제 건축이 그렇진 않습니다.”건축에서는 돈과 시간, 지형과 주변 환경, 법규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다. 제한된 조건 안에서 원하는 목적을 이뤄내는 게 건축 설계라는 ... ...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제대로 미끄러질 만큼 충분히 녹으려면 스케이트 날 위에 수십 명이 올라서야 한대요. 잘못된 상식이라는 얘기죠. 실제로는 마찰열 때문이거나 얼음 표면의 겔 층 때문이래요. 히히.”하, 이 어쩔 수 없는 공대생의 대화라니. 그러나 소녀는 싫지 않습니다. 아는 척 하려는 소년이 오히려 귀엽게 ... ...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걱정해야 하는 나라에서는 어린이들의 교육에 신경 쓸 만한 여유가 없어요. 현미경 한대만 있으면 학생들이 보고 배울 수 있는 것이 많다는 사실을 알지만, 한 대에 최소 100만 원이나 하는 현미경을 사기란 쉽지 않지요.폴드스코프는 보통 현미경 한 대 값에 1000개를 구입할 수 있어요. 적은 돈으로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있다고 해.필요한 경우 골반을 초음파로 검사하거나 뇌를 MRI(자기공명영상) 촬영하기도 한대. 검사가 무척 복잡해 보이지만 주사를 맞을 때 한 번 따끔한 것만 참으면 된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말 것! 성조숙증, 전부 다 치료하는 건 아니라고?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고 해서 모두 치료를 해야 하는 ... ...
- 내가 어떤 인재인지 알고 싶다고? 그럼 지니움으로 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같은 지능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것까지 확인할 수 있어. 그래서 ‘인지발달검사’라고도 한대. 친구들은 자신을 잘 알고, 부모님은 자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검사야.전문가들은 학교에 들어가기 전인 7세 이전에 인지발달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해. 가정에서는 자유롭게 지낼 수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정도지. 공포증으로 진단되려면 무언가가 두려운 증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대. 그런데 중요한 점은 그렇다고 6개월 동안 기다릴 필요는 없다는 거야. 학교를 갈 수 없을 정도로 혹은 밖에 나갈 수 없을 정도로, 한마디로 일상생활에 지장 받을 정도로 무엇인가가 무섭다면 바로 ... ...
- 달콤한 유리창 품은 바삭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릇이 놓여 있었거든요. 고소하고 바삭바삭한 캔디쿠키를 구우려면 밀가루를 잘 골라야 한대요. 강력분과 중력분, 박력분 가운데 도대체 어떤 것을 골라야 하는 걸까요?쿠키처럼 달콤한 향기가 나는 밀가루를 고르면 될까? 킁킁!킁킁, 하지만 밀가루는 모두 같은 냄새가 나는걸!바삭바삭 쿠키를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거지. 간혹 동물하고 헷갈려서 사람들 옷에 붙어버린 애들은 아파트를 구경하기도 한대. 도깨비바늘, 가시도꼬마리, 코스모스 씨들이 나처럼 뾰족한 가시를 자랑한단다!동물 똥으로 나오는 씨앗킁킁~, 똥 냄새가 난다고? 그래도 그 덕에 아주 멀리까지 왔는걸! 난 원래는 예쁜 열매 속에 들어 ... ...
- 셀레스틴이 알려 주는 이빨의 비밀 어네스트와 셀레스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젖니를 빼면 지붕으로 던지면서 두꺼비에게 ‘헌 이 줄게, 새 이 다오’라고 외치곤 한대. 친구들도 큰 소리로 외치며 젖니를 던져 보렴!자, 나는 이제 숙제를 하러 가야해. 선생님이 엄청 어려운 숙제를 내 주셨거든. 숙제가 뭐냐고? 그건 바로…. 아, 바로 말해 주면 재미없지!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우리 초식공룡이 꽃을 진화시켰는지, 꽃이 초식공룡을 진화시켰는지를 두고 싸우기도 한대. 왜냐하면 지구에 살았던 모든 공룡의 절반이 중생대의 마지막 2000만 년에 해당하는 지금 이 시간, 그러니까 꽃식물이 퍼졌던 기간에 살았거든. 분명 둘이 상호작용을 하긴 했다는 얘기지.스콧 샘슨 박사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