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대"(으)로 총 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찍으면 속을 들여다 볼 수 있어. 하지만 사람의 몸을 찍을 때와는 다르게 ‘회절’을 이용한대. 회절은 파동이 장애물이나 좁은 틈을 통과할 때 사방으로 퍼지는 현상이지. X선이 결정의 입자들 사이의 틈을 지나면서 생겨난 회절 무늬를 보고 결정의 구조를 알아내는 거야. 이렇게 X선으로 결정의 ...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대의 로봇을 동시에 개발해 왔다. 한 대는 인공근육형 고성능 하체를 가진 로봇 토르, 또 한대는 한국 로봇기업 ‘로보티즈’와 공동 개발한 로봇 ‘토르op(한국명 똘망)’다. 데니스 홍 교수는 토르 개발을 기한 안에 끝내지 못해 좀더 빨리 완성됐던 토르op를 들고 대회에 참가했다. 데니스 교수는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치료, 고름의 배농, 종기의 제거, 화살이나 탄알의 제거 등이 전부였기 때문이다. 심각한대수술이란 탈장수술이거나 상처가 심해 썩어 들어가는 팔이나 다리를 자르는 사지절단술이었다. 19세기 중반에이르도록 마취는 개념조차 없었고, 가슴이나 배를 열었을 경우에는 쇼크와 출혈, 또는 감염으로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루 앞둔 10월 17일 낮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 지금까지 사람들이 본 적이 없는 헬기 한대가 요란한 소리를 내며 하늘로 솟아올랐다. 이 헬기는 약 10분 동안 성남공항 상공을 오고가며 묘기를 부렸다. 공중에 멈춰 서더니 후진을 하고, 하늘에 8자를 그리며 빠르게 선회하기도 했다. 시속 900km가 넘는 ... ...
- 너를 위한 이야기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심안의 진술 (1)병동에 들어서자마자 악취에 코를 막아야 했다. 아이들은 거의 방치되어 있었다. 한 명은 반쯤 죽어 있었는데 죽음에 대한 이해조차도 없었다. 한 명은 자해로 엉망이었는데,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자극의 결핍을 견디지 못하는 듯했다. 짐승이나 다름없는 상태였으나 내가 아는 바 짐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고양이가 늘어나고 있긴 해요. 바로 옆에 발정한 고양이가 있는데도 닭이 소 보듯 보기만 한대요. 인간들 사이에서는 이런 사람들을 보고 ‘초식남’이니 ‘건어물녀’니 하는 별명을 붙이는데 육식 동물인 우리를 ‘초식묘’ 이렇게 부를 수도 없고, 거참.이상한 고양이가 늘어나면서 살기 좀 ... ...
- 중력으로 욕심을 비워내는 잔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다니는 누나가 그러는데요. 술을 가득 채워서 한 번에 다 마시는 ‘원샷!’을 엄청 많이 한대요. 그렇게 원샷을 반복하면 짧은 시간에 많이 마시게 되고 결국 빨리 취하는 거죠.과동이가 너무 잘 알고 있네요. 누나 때문에 속상해서요. 제가 버스 정류장에 마중을 나가곤 하거든요.계영배, 넘침을 ... ...
- 하루에 2cm, 기후를 지키는 움직임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참. 몇 년 전에 크게 유행했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화장품이나 음료 개발 연구도 한대요.그렇군요. 경상북도에서는 앞으로 이곳을 해양 연구 중심지로 활용하겠다고 했어요. 본래의 취지대로 성공했으면 좋겠네요.그런데 선생님. 심층수를 사용한 화장품 선전도 하던데요. 도대체 심층수가 뭐길래 ... ...
- 사랑의 묘약,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출산을 한 뒤 ‘사랑의 묘약’ 옥시토신에 흠뻑 젖은 엄마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신한대.엄마가…, 변신?트랜스포머처럼 착착 접혀서 자동차가 로보트로 뿅 변하는 거요? 우와~! 그럼 엄마는 변신 전에 뭐 였는데요?하하, 엄마는 변신 전에도 사람이었지. 하지만 지금만큼 용감하지는 않았단다. ...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숲의 천이와 교란을 좀 더 들여다보자.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길쭉하게 분포해 난대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종이 퍼져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의 개발, 일제강점기 그리고 6·25전쟁을 거친 이후 전반적으로 황폐화됐다. 이후 각고의 노력과 ‘치산녹화사업’으로 다시금 제대로 된 숲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