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포토뉴스] ‘왕좌의 게임’ 예측 불허 전개, 수학은 알았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불의 노래’를 데이터 과학과 네트워크 이론으로 분석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11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 연구팀은 원작 소설의 2000명이 넘는 등장인물과 4만 1000개가 넘는 그들 사이의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피의 서사시’라고 불릴 만큼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한승기 충북대학교 물리학과 교수팀은 시대별, 작가별로 풍경화의 구도를 수치화해 작품의 연대를 유추할 방법을 고안했습니다.연구 ... 않고 체계적으로 변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문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10월 12일자에 실렸습니다.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는 질 피퍼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의 자회사에 흡수됐습니다. 피퍼 교수는 2019년 4월 미국수학
회보
에 실린 인터뷰 기사에서 “회사를 차린 경험을 통해 수학자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공헌하는 일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 배웠다”고 말했습니다. 2019년에는 미국수학회 회장을 맡게 되자 학술 연구 지원은 ... ...
[수학뉴스] 꿀잠 방해 원인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10월 2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이상 청소년기부터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렸다. doi: 10.1073/pnas.1316909110하지만 남녀의 뇌가 다르다는 주장에도 복잡다단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남녀 뇌에는 차이가 없다는 강한 반박도 나온다. 남녀의 뇌에 차이가 있다 한들 그 특성이 ... ...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미국 터프츠대와 버몬트대 등 공동연구팀이 올해 1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doi: 10.1073/pnas.1910837117 연구팀은 아프리카발톱개구리 배아의 초기 발생단계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해 심장세포와 피부세포로 분화시켰다. 그리고 이것으로 각각 제노봇의 엔진과 뼈대를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그런데 현수교의 케이블은 정말 현수선일까요? 1925년 미국 수학학회(AMS)에서 발행하는
회보
에 물리학자 아이라 프리먼이 현수교의 곡선은 이론적으로 현수선보다는 포물선에 가깝다는 것을 설명한 글이 실렸어요. 현수교의 케이블에는 도로를 받치는 로프가 일정한 간격마다 매달려 있기 때문에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감염을 막기 위해 정상 꿀벌과 거리를 두는 행동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02268117연구팀은 일부 꿀벌에게 이스라엘급성마비바이러스(IAPV)를 감염시킨 뒤 벌집으로 되돌려 보내 그들의 행동을 추적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은 다른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5년 동안 100만km2가 사라져 기존 면적의 3분의 1로 줄었다고 국제학술지 ‘지구물리학연구
회보
(GRL)’ 6월호에 발표했다. 8월에는 첨단기후모델을 이용해 북극 해빙의 녹는 속도를 예측한 결과 2035년 9월 북극 바다에서 해빙을 볼 수 없을 거라는 결과도 내놨다. 21세기 중반이라는 NASA의 예측보다 최소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프레데릭 생어 영국 케임브리지대 MRC 분자생물학연구소 박사가 1977년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처음 발표했다. 이 기술은 복제 과정을 중단시켰을 때 생성되는 DNA 조각을 겔 전기영동법(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해 크기에 따라 줄 세운 뒤 순서대로 염기서열을 읽는다. 참고로 생어 박사는 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