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
하천
뉴스
"
강물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3D처프' 바다 밑에 가라앉은 해저 유물을 보여줘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고고학적 가치를 띠고 있다. 하지만 선체가 강 바닥 퇴적물에 묻혀있는 데다가
강물
조류가 거세 유물 발굴은 물론 함선의 정확한 규모와 입체(3D) 구조를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영국 사우스햄튼대 고고학자들은 음파를 수중으로 발사해 3차원 이미지를 얻어내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배너바 부시와 그의 보고서에 관해서는 다른 글을 참고할 것. 김우재, 연어가
강물
을 거슬러 오르지 않을 때,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http://saesayon.org/2010/07/09/10076/ -마르클의 죽음에 대한 여러 부고들 중에, 개미의 사회성 연구로 유명한 베르트 휠도블러 박사의 부고를 추천한다. Hölldobler, B. ( ... ...
한강서 세균에 항생제 내성 옮기는 신종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같은 베타락탐 항생제에 최대 16배 저항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로
강물
과 같은 환경에서 이러한 바이러스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한강에서 최초로 발견됐지만 전 세계 곳곳에서도 비슷한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환경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도 항생제 내성 전파의 매개체가 될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단단한 토대에 서 있게 될 것이다. 연어는 왜 온몸이 부서지는 고통을 무릅쓰고
강물
을 거슬러 오르는 것일까. 연어 알이 부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자연의 섭리를 다시금 돌이켜 볼 때이다. 석현광 KIST 의공학연구소장 ※필자소개 석현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급속도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심각한 설사로 인해 숙주가 죽는 일이 있더라도
강물
이나 호수에 한 번 퍼지면 대량 감염이 가능하다. 숙주를 희생해서라도 대량 전파를 감행하는 전략을 진화시켰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보도에 의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수인성 감염병은 아니다. 공기를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윌슨은 인간이 자연애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심리적인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해변이나
강물
, 숲이 우거진 산에는 먹을 것도 많아서 좋아하는 심리가 진화했을 것이다. 하지만 기분만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같이 지낸 감염성 친구 외에도, 자연환경에서 자주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심리적인 부분도 있을 것이다. 해변이나
강물
, 숲이 우거진 산에는 먹을 것도 많아서 좋아하는 심리가 진화했을 것이다. 하지만 기분만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인류가 오랜 세월 동안 같이 지낸 감염성 친구 외에도 ... ...
물속에서 만난 7미터 아나콘다
팝뉴스
l
2019.12.25
움직이는 것과 하나도 다르지 않은 게 신기하다. 영상은 브라질의 두 다이버가
강물
속에서 우연히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아나콘다는 길이가 7미터에 달했는데 아주 순했다는 후문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리튬 과용하면 부작용, 수돗물 장기섭취 영향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가운데 리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당장은
강물
속 리튬이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정확한 건강 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류종식 부경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이 2015년 7월, 남한강과 ... ...
한강 '리튬'에 무방비 노출…폐배터리·치료약 성분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한강 하구에서의 리튬 농도 상승은 인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한강 상류에서
강물
속 리튬 동위원소 비율을 표준 샘플의 리튬 동위원소 비율로 나눠준 값은 2.54~3.9%로 나타났지만 하구에서는 1.92%로 떨어졌다. 비율이 낮으면 리튬6 농도가 낮다는 뜻으로 인위적인 영향이 크다고 해석할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