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
하천
뉴스
"
강물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25일 표지로 실었다. 당시 화산 분화로 화산 동쪽 단층에서 나온 붉디 붉은 용암이 마치
강물
처럼 바다쪽으로 흘러내렸다. 화산 정상에 있던 냄비 모양을 닮은 분지인 칼데라(분화구)도 붕괴됐다. 킬라우에아 화산에선 3개월간 이런 연쇄 폭발과 지진이 지속됐다. 이번 화산 분화는 최근 200년간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인류의 진화과정은 미국의 배우 브래드 피트가 주연으로 나왔던 영화 ‘흐르는
강물
처럼(1992)’에 비유해 설명하곤 합니다. 하천과 개울 등 수많은 지류가 모여 강을 이루고, 다시 흩어지길 반복하는 것처럼 지금은 사라진 다양한 인류 종이 교배하고 갈라서길 반복하며, 현생 인류(현대인)로 ... ...
악어 잡아먹는 악어 '포착'
팝뉴스
l
2018.10.14
먹잇감을 찾던 악어를 먹잇감으로 점찍고 사냥한 것이다. 악어를 문 악어는 천천히
강물
속으로 들어갔다. 물린 악어는 살아 있었지만 꼼짝하지 못했다. 자연의 ‘공포감’ 혹은 ‘비정함’을 보여주는 영상이라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연구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양산하는 것도 사실이다. 일부 국내 과학계에는 ‘대동
강물
을 장사했던 봉이 김선달’처럼 핵융합에너지가 과학계의 대표적 사기극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하는 이들도 있다. ITER 건설비용이 계속해서 늘어나는 것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ITER가 해마다 프레스데이를 ... ...
목숨을 건 연구 체험기! 아마존에서 살아남기
2018.08.20
책을 읽거나 야생초 가득한 들판을 축구장삼아 동네 주민들과 축구를 즐기고, 또
강물
에 들어가 다같이 물놀이를 즐길 수도 있었다. 악어나 뱀이 물놀이를 함께 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지만 말이다. 숙소 앞에 나타난 독사 ‘페르드랑스’를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모습. - 전종윤 연구원 제공 ● ... ...
[짬짜면 과학 교실] 아낌없이 주는 전지
2018.08.18
전구에 전기를 많이 받게 되어 전구들의 빛이 더 밝아져요. 그런데 한 방향으로 흐르는
강물
처럼 전류에도 전기가 흐르는 방향이 있어요. 전기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전지의 (+)극에서 (-)극으로 흘러요.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면 ‘전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상 분석 제대로?...
강물
양부터 제대로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말했다. 바닷물이 아닌 물의 대부분은 극지방의 빙하와 빙붕에 있으며, 지표면 위
강물
과 지류 등은 전체의 0.3%라는 것이 일부 위성을 통해 계산한 기존 예측치였다. 그런데 최근 수천여 개의 위성들이 찍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예측보다 최소 29%에서 59% 이상 많은 물이 지표면에 ... ...
홍수 나도 운동하는 남자
팝뉴스
l
2018.07.25
제공
강물
이 불어서 운동 시설이 물에 잠겼다. 그러나 한 남자는 개의치 않았다. 드러누워서 바벨을 들어 올리며 체력을 키우고 있다. 해외 네티즌들을 놀라게 만든 인터넷 화제 사진이다. 남자는 운동을 아주 사랑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홍수 따위는 개의치 않는 담대함을 가졌다. 갑자기 ... ...
[짬짜면 과학 교실] 코끼리 가족에게 배우는 ‘물체의 운동’
2018.06.30
이사해요 사자들이 숨어 있는 굶주림의 숲을 지나 바람이 알려 준 서쪽
강물
을 향하여 코끼리 가족은 꼬박 사흘을 걸어가요 아빠 코끼리가 한 걸음을 뗄 때마다 아기 코끼리는 세 걸음을 옮겨요 그래야 코끼리 가족의 속력이 같아져요 지친 코끼리 ... ...
[짬짜면 과학 교실] 바다의 용궁은 무엇으로 지어졌을까?: 용해와 용액
2018.06.09
잘 뜨거든요. 이런 여러 방법으로 용액의 진하기를 쉽게 비교할 수 있어요. 호수나
강물
에서보다 바닷물에서 우리 몸이 더 잘 뜨는 이유를 알겠죠? GIB 제공 위의 동시로 돌아가 볼까요? 소금을 처음 본 용왕은 새하얀 산호 같은 소금으로 멋진 용궁을 새로 짓고 싶었어요. 하지만 소금은 물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