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6건 검색되었습니다.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모형 쇄빙선이 지나간 근처, 사전에 선정된 위치에 깨지지 않은 얼음을 직육면체 사각
기둥
형태로 잘라냈다. 모형선이 부딪혀 깬 얼음의 강도와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다. 빙해 수조의 얼음은 67mm로 만들었지만 가로세로 32m의 빙해 수조 모든 곳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얼 수는 없다. 때문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육각형 거울로 우주 심연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8
유명한 천체 중 하나였던 창조의
기둥
은 올해 10월 JWST에 의해 다시 포착됐다. 이번에는
기둥
가장자리에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면서 나오는 분출물까지 자세하게 관측됐다. 육각형 모양의 구경을 벌집처럼 이어 붙여 만든 JWST의 거대한 구경을 이용하면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번주 ... ...
좁은 곳서 발생한 이태원 참사..."몰린 인파, 유체처럼 움직였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성지순례(하지) 행사 도중 압사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성지순례 과정 중 하나인 돌
기둥
을 돌며 돌을 던지는 의식을 하던 중 이슬람 신자 수십만 명이 한꺼번에 몰리며 2400명 이상이 질식하거나 짓눌려 사망했다. 갈레아 교수는 군중 밀도가 단위면적당 6명을 넘어서면 '점진적 군중붕괴(progressive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나선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프리기아의 수도 고르디움에서 제우스 신전
기둥
에 밧줄로 묶여있는 전차를 마주한다. 이 도시를 건설한 왕 고르디우스가 바친 것으로 그는 “이 매듭을 푸는 자가 아시아를 지배할 것이다”라고 예언했다. 사람들은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어떻게 ... ...
NASA 우주선 소행성 충돌 순간, 큐브위성 '리차큐브'가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실려 우주를 항행하다 이달 11일 사출됐다. 충돌 3분 후 소행성에서 뿜어져 나온 충격
기둥
이미지와 비디오를 촬영했다. 과학자들은 이번 사진이 디모르포스의 구조와 구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그간 소행성이 우주선 충돌에 어떻게 반응할 지 미지수였는데 이런 ... ...
美 지구방어 우주선, 소행성 충돌 성공..."인류 새 시대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설명했다. 큐브위성 '리시아큐브'는 충돌 3분 후 소행성에서 뿜어져 나온 충격
기둥
이미지와 비디오를 촬영했다. 리시아큐브가 찍은 이미지와 비디오는 약 하루 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리시아큐브는 다트와 함께 우주로 발사돼 항행을 하다 지난 11일 사출됐다. 이 밖에 제임스웹 ... ...
고용량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추우면 잘 깨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리튬 이온을 두 번 충전해도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300나노미터(㎚) 지름의 실리콘 나노
기둥
이 저온 환경에선 전부 파괴됐다. 이현욱 교수는 “겨울철 저온 환경에서 충‧방전 시 실리콘 음극에서는 부피 팽창과 파괴가 나타날 수 있다”며 “저온에서 실리콘 음극의 기계적 거동을 규명하고 ... ...
[지구는 살아있다] (마지막회) 사라지는 지구의 역사를 지켜라
2022.08.27
방문하여 주민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이 지역에는 레나강변을 따라 100m 높이의 암석
기둥
이 멋지게 서 있다. 지질유산의 보호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우경식 제공 ※필자소개 우경식(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지질학 명예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 ...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연합뉴스
l
2022.08.12
넘는 영역에 걸쳐 용솟음친 대류
기둥
에 의해 유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대류
기둥
이 광구의 일부를 우주로 날려버리고, 이 물질들이 식으면서 먼지 구름을 형성해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별의 광도를 급격히 떨어뜨리게 된 것으로 제시됐다. 베텔게우스는 2019년 말부터 수개월간 광도가 ... ...
웹 망원경이 포착한 목성…고리에 위성까지 선명
연합뉴스
l
2022.07.18
그처럼 분명하게 본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다"면서 "태양계 안에서 웹 망원경으로 이
기둥
을 포착할 수 있다면 가장 멋진 것 중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했다. 웹 망원경은 또 3차례에 걸친 관측에서 망원경의 시계(視界)에서 목성과 유로파가 이동하는 이미지를 확보했는데, 이는 망원경이 밝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