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살아있다] 아름다운 석회동굴은 지하수가 깎아 만든 작품
2021.08.28
석순이 자랍니다. 종유석과 석순이 점점 크게 자라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만나면
기둥
모양의 형태가 됩니다. 이를 '석주'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조건에 따라 커튼, 동굴진주, 동굴산호, 석화 등 다양한 동굴생성물이 만들어집니다. 동굴생성물은 환경에 따라 자라는 속도가 다릅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낮 폭염 식히는 수동주간복사냉각
2021.08.10
개미 털은 지름이 2㎛로 사람 머리카락의 40분의 1 수준이다. 그 결과 햇빛이 들어오면
기둥
안 공간에서 산란돼 몸 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다시 빠져나간다. 앞서 고분자의 구멍과 같은 기능이다. 그리고 큐티클로 이뤄진 털에서 중적외선이 방출돼 복사냉각이 일어난다. 연구자들은 털이 온전한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위치한 대광장. 바닥에서 솟아난 석순, 천장에 매달린 종유석, 석순과 종유석이 만난
기둥
인 거대한 석주가 우뚝 솟은 모습이 장엄했다. 동아사이언스 대광장에서는 거대한 석주를 비롯해 다양한 동굴 구조물들이 조명을 받아 은은한 빛을 냈다. 백령동굴에서 유일하게 조명이 설치된 곳이다. ... ...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서 메탄 다량 분출…미생물 존재 가능성"
연합뉴스
l
2021.07.07
작용 등 생명체가 관여하지 않는 메탄 생성 과정만으로는 메탄이 카시니호가 수증기
기둥
에서 관측한 농도만큼 만들어질 수 없다고 결론짓고, 여기에 미생물이 관여하는 생물학적 메탄 생성 과정을 추가한 뒤에야 카시니호 데이터와 일치하는 충분한 양의 메탄이 생성됐다고 밝혔다. 페리에르 ... ...
[과기원은 지금] GIST 원자층 두께 다강성 반데르발스 물질 최초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6
충격 등을 견디는 기계적 내구성이 약하다. 공동 연구팀은 벌집처럼 단위세포를 육각
기둥
형태로 만들면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열전소재 원료를 더 적게 써 경량화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 ...
바다에 뜨는 해상풍력 기술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곽성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연구팀장은 “고정식은 해저에 콘크리트나 쇠
기둥
을 박아야 해서 수심 50~60m를 넘어가면 설치가 어렵다”며 “부유식은 수심이 100m가 넘는 바다에 충분히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서부의 태평양은 동부의 대서양보다 수심이 깊어 부유식이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때문일 겁니다. 실제로 산 위에는 주상절리가 온전히 묻혀있기도 합니다. 현무암
기둥
이 봉처럼 생겨서일까요? 한 전설에 따르면 이 산이 금강산이 되려고 돌을 모아 봉을 만들고 있었는데, 이미 금강산이 생겼다는 소식을 듣고 엉엉 우는 바람에 ‘운봉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합니다. ○ ... ...
공중 풍력발전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이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90배에 이르는 수치다. 공중 풍력발전은 거대한
기둥
에 거대한 날개를 붙여 돌리는 현재의 지상풍력과 해상풍력 발전의 한계를 극복하는 노력에서 탄생했다. 지상과 해상 풍력발전은 설치량이 급격히 늘었지만 전력 생산량이 잠재 생산량 400TW의 0.2%인 743기가와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이 우주의 속도제한, 그리고 E=mc²
2021.04.15
패러다임의 과학이 전제돼야 한다. 상대성이론과 함께 현대물리학을 떠받치는 또 다른
기둥
인 양자역학에서는 상대성이론보다 훨씬 더 신묘한 현상들이 많다. 그러나 아무리 신묘한 양자역학적 현상이 있다 하더라도 광속제한은 여전히 극복할 수 없다. 양자역학의 가장 신기한 현상이라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특수상대성 이론이 등장하기까지
2021.03.18
20세기를 거치며 방대한 분야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룩했는데 이를 떠받치는 큰
기둥
이 둘 있다. 바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다. 이 두 분야의 발전에 모두 크게 기여한 사람이 바로 앨버트 아인슈타인이다. 상대성 이론은 아인슈타인이 거의 혼자서 만들었으니 기여도라는 걸 따지는 게 무의미할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