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도량"(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kg의 새로운 정의, 수학과 물리학이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세계에서 7월까지 실험한 자료를 모아 플랑크 상수를 확정하고, 이를 이용해 내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1 kg의 새로운 정의를 내릴 예정이다. 이광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힘센터 책임연구원이 키블 저울을 이용해 질량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플랑크 상수를 측정하고 있다. - ... ...
- [사이언스지식IN_GOODBYE고리 ②] 원자로 해체, 제염이 뭘까요?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한편, 운동장과 같은 흙바닥에는 ‘표토 제거’ 기술을 이용하면 80~90% 제거 효과가 있고, 도량의 오염은 ‘퇴적물 제거’가 70~90%를 저감시켜 가장 효과적인 기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일본 환경성은 방사성 물질 부착상태, 오염 경과 시간 등에 따라 제염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 ...
- 1m의 새로운 정의는?...국제단위계, 발전된 과학기술로 새롭게 정의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6.30
- 수많은 연구가 신뢰할 수 없게 바뀌어 버린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1983년 제16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미터의 정의를 바꿨다. 기본 물리 상수 중 하나인 ‘빛의 속도’를 이용해 정의했다. 과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험을 통해 각종 물리 상수를 정확하게 알게 되면서 가능해진 일이다. 길이를 ... ...
- [카드뉴스] 윤초에 대한 궁금증 3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바다나 지구 속 마그마 등의 영향으로 빨라지거나 느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1967년 세슘-133 원자를 변화시키는 마이크로파의 진동을 기준으로 시간의 기준을 세웠습니다. 이 마이크로파가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하는 시간을 1초로 정의한 것이죠. 그런데 이 기준으로 ... ...
- 英-佛 절대온도(K) 논란, 한국인 과학자가 해결2015.10.30
- 100만 분의 3만큼 높게 측정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그 결과를 측정 분야 국제 권위지인 ‘도량형학(Metrologia)’ 10월호에 발표했다. 영국은 한국의 연구 결과를 수용해 오류를 인정하고 측정 결과를 수정하면서 영국과 프랑스의 ‘켈빈 전쟁’은 일단락됐다. 양 연구원은 “만일 영국과 프랑스의 ... ...
- 한국인 과학자, 국제표준기구 대외협력 부회장 선임2015.09.14
- 펼치고 있다. 독일과 미국, 영국, 일본 등 40개국이 회원국이다. 박 센터장은 앞으로 국제도량형국, 지역측정표준협력기구 등 측정표준 기구 간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고 개도국 회원 확대 및 지원 강화를 위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박 센터장은 “우리나라가 측정 표준 전 분야의 연구동향을 ... ...
-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2015.08.28
- 통신, 전자상거래와 컴퓨터 시간 정보 등 기준을 제공한다.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도량형국(BIPM)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각국의 원자시계가 측정한 시간을 평균 내 국제표준시를 채택한다. 박승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성과확산부장은 “북한도 원자시계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국제표준시 ... ...
- 7월 1일, 내일 하루는 24시간 1초2015.06.30
- 하루라는 시간은 지구가 한 바퀴 회전하는 자전주기를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세슘원자가 진동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1초를 새로 정의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지구의 평균 자전주기는 세슘원자시계를 기준으로 하면 24시간보다 약 0.002초 느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 ...
- 실제 1kg은 449μg 더 가볍다2015.04.28
- 산업체는 1kg 국가질량원기가 국제 표준 보다 449μg 무겁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국제도량형국은 2018년 질량표준을 다시 정의할 예정으로 세계 각국 표준기관들은 마모되는 인공물이 아닌 방식으로 1kg을 정의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표준연도 현재 전자기력을 중력으로 환산해서 물체의 ... ...
- 올해 7월 1일, 1초 더 늘어난다2015.04.06
- 미세하게 달라 시간이 흐르면서 두 시간 체계 사이에서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정확하고 안정적인 1초를 만들기 위해 오차가 3000년에 1초 정도인 세슘원자시계를 1967년 도입했지만, 세슘원자시계에 의한 1년의 길이가 태양에 의한 1년의 길이와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