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격
뉴스
"
동위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에너지연,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와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가깝게 가속하는 장치다. 가속된 양성자는 반도체, 우주 부품 방사선 영향평가, 의료용
동위
원소 생산, 양성자 암 치료 기초 연구 등에 활용된다. 경북 경주에 있는 원자력연 양성자가속기는 국내 최대 규모 양성자 빔 서비스 제공 시설로 2017년 1.37:1이었던 산업체의 이용 경쟁률이 2024년 상반기에는 ... ...
원전 폐수 속 저농도 삼중수소까지 제거하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전자 1개로 이뤄졌다. 삼중수소(오른쪽)는 수소에 2개의 중성자가 더 있어 질량이 3배인
동위
원소다. 원자력 발전소 운영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이다. 위키미디어 ... ...
"공룡 멸종시킨 충돌체 정체는 목성 너머에서 온 탄소질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셈이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탄소질 운석 성분과 비교해 칙술루브 운석의 루테늄
동위
원소 비율이 태양계 외곽의 '탄소질 소행성'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태양계 밖에서 온 혜성의 성분과도 구분됐다. 45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때는 온도가 너무 높아서 휘발성 화학물질이 응축하기 ... ...
"달에 희박한 대기 생긴 주된 이유는 운석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비율도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달 토양에는 칼륨과 루비듐의 무거운
동위
원소가 높은 비율로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계산해 운석 충돌로 인한 충격 기화가 달의 대기 형성에서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된 과정일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을 내렸다. 달과 비슷한 행성에서 ... ...
MIT·리켄 등 세계 최고 연구기관과 원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약 1500개의 희귀
동위
원소를 생성하고 활용해왔다. 원자번호 113번인 니호늄(Nh)과 희귀
동위
원소 171개를 발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내고 있다. ● 글로벌 탄소·수소(C2H) 연구센터 서울대와 스탠퍼드대 협력과제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연구돼온 수소 활용 및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 ...
티타늄 빔 쏴서 미지의 '120번 원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20번인 칼슘(Ca)의
동위
원소 칼슘-48을 원자번호 90번대 원소에 충돌시켜 합성했다.
동위
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 원소를 말한다. 칼슘-48은 안정성이 높아 표적 핵과 합쳐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118번 오가네손은 원자번호 98번 칼리포늄(Cf)에 칼슘이 합쳐져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⑩ "다양한 유연근로제가 과학자 일과 가정 양립 도와"(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때마다 연구를 포기해야 하나 고민했다. "실험실에서 방사능 위험이 있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사용했어요. 뱃속 아기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무서웠어요. 납으로 이뤄진 무거운 납치마를 매고 늘 실험을 해야했어요. 출산 전날까지 실험실에 있었습니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 간 韓 자체 개발 원자력전지 장기간 '이상 無'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방사성 물질 사용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지 내부에서 전기 히터로 방사성
동위
원소 붕괴열과 동일한 열을 발생시켜 전력 생산을 확인했다. 원자력연은 한국 우주 탐사 계획인 달 착륙선에 원자력전지를 탑재해 달 표면에서 전력 생산을 실증한다는 계획이다. 달 자원 추출 등 다른 ... ...
우주탐사 에너지원 '원자력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협력협약(MOA)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원자력전지는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태양이나 바람 등 외부 동력원이 필요 없어 우주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에너지원이다. 원자력연도 지난 2022년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2건의 연구를 소개했다. 2건의 연구 모두 쥐 먹이에 포함된 탄소와 질소를 특정 시기에만
동위
원소로 바꾸고 이를 추적해 단백질의 나이를 측정했다. 멜리나 슈흐 독일 막스플랑크 다학제 과학연구소 감수분열학과 교수팀은 생식이 활발한 시기인 8주령 생쥐의 난모세포를 분석해 세포 속 단백질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