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격
뉴스
"
동위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희박한 대기 생긴 주된 이유는 운석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비율도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분석 결과 달 토양에는 칼륨과 루비듐의 무거운
동위
원소가 높은 비율로 포함돼 있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계산해 운석 충돌로 인한 충격 기화가 달의 대기 형성에서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된 과정일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을 내렸다. 달과 비슷한 행성에서 ... ...
MIT·리켄 등 세계 최고 연구기관과 원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약 1500개의 희귀
동위
원소를 생성하고 활용해왔다. 원자번호 113번인 니호늄(Nh)과 희귀
동위
원소 171개를 발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내고 있다. ● 글로벌 탄소·수소(C2H) 연구센터 서울대와 스탠퍼드대 협력과제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연구돼온 수소 활용 및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 ...
티타늄 빔 쏴서 미지의 '120번 원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20번인 칼슘(Ca)의
동위
원소 칼슘-48을 원자번호 90번대 원소에 충돌시켜 합성했다.
동위
원소는 원자번호는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달라 질량이 다른 원소를 말한다. 칼슘-48은 안정성이 높아 표적 핵과 합쳐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118번 오가네손은 원자번호 98번 칼리포늄(Cf)에 칼슘이 합쳐져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⑩ "다양한 유연근로제가 과학자 일과 가정 양립 도와"(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때마다 연구를 포기해야 하나 고민했다. "실험실에서 방사능 위험이 있는 '방사성
동위
원소'를 사용했어요. 뱃속 아기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실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무서웠어요. 납으로 이뤄진 무거운 납치마를 매고 늘 실험을 해야했어요. 출산 전날까지 실험실에 있었습니다. ... ...
누리호 타고 우주로 간 韓 자체 개발 원자력전지 장기간 '이상 無'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방사성 물질 사용이 금지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전지 내부에서 전기 히터로 방사성
동위
원소 붕괴열과 동일한 열을 발생시켜 전력 생산을 확인했다. 원자력연은 한국 우주 탐사 계획인 달 착륙선에 원자력전지를 탑재해 달 표면에서 전력 생산을 실증한다는 계획이다. 달 자원 추출 등 다른 ... ...
우주탐사 에너지원 '원자력전지' 핵심 부품 국산화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기술 개발을 위한 상호협력협약(MOA)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원자력전지는 방사성
동위
원소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태양이나 바람 등 외부 동력원이 필요 없어 우주나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에너지원이다. 원자력연도 지난 2022년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2건의 연구를 소개했다. 2건의 연구 모두 쥐 먹이에 포함된 탄소와 질소를 특정 시기에만
동위
원소로 바꾸고 이를 추적해 단백질의 나이를 측정했다. 멜리나 슈흐 독일 막스플랑크 다학제 과학연구소 감수분열학과 교수팀은 생식이 활발한 시기인 8주령 생쥐의 난모세포를 분석해 세포 속 단백질의 ... ...
달 뒷면엔 무엇이?...우주자원 개발 경쟁 심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1개로 구성된다. 이런 헬륨3에 양자 1개와 중성자 1개로 이뤄진 중수소를 핵융합시키면
동위
원소인 헬륨이 생성되며 양자 1개가 남아 에너지로 바뀐다. 헬륨3 1g은 석탄 40t과 비슷한 에너지를 뿜는다. 헬륨3은 양자컴퓨터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도 기대된다. 양자컴퓨터 온도를 영하 273.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식물을 먹으면 이 식물이 갖고 있던 지역 특유의
동위
원소 분포를 갖게 된다. 나비의
동위
원소를 조사해 이들이 서유럽, 북아프리카, 서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는 점을 밝혔다. 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부는 바람이 이들의 이동을 도왔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탈라베라 ... ...
신경병증성 치료 실마리 '별세포'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활성화되는 ‘지속적 흥분(Tonic Excitation)’ 현상이 일어난다. 연구팀은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된 포도당을 이용한 양전자단층촬영(PET)을 통해서 이때 신경세포가 지속적 흥분을 하는 모습을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별세포의 발현에 관여하는 효소를 활용해 가바 생성을 억제했더니 척수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