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기증
vertigo
뉴스
"
버티고
"(으)로 총 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언어 유전자’는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이 유전자가 현생인류 등장 직후인 20만 년 전부터 급격히 퍼졌다는 2002년 연구 결과가
버티고
있어 ‘언어 유전자’라는 지위를 계속 누릴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앳킨스 연구원은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 사람을 포함해 기존보다 두 배 이상 많은 53명의 사람과 침팬지 10마리, 3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게 반가운 이유다. 이런 행운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은 주중에는 카페인의 도움을 받아
버티고
주말에 ‘잠 빚’을 갚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다. 나이 들면 카페인 섭취 줄여야 한편 나이가 들수록 생체시계의 정교함이 떨어지고(각성과 이완의 최댓값 차이, 즉 진폭이 줄어든다) ... ...
“맥주 포기 못해” 문에 손이 낀 남자
팝뉴스
l
2018.06.05
맥주병으로 보이는 병을 쥐고 있다. 맥주를 놓으면 손을 뺄 수 있을 것 같은데 남자는
버티고
있다. 남자에게는 맥주 한 병이 그렇게 중요했을까. 엄청난 애주가이거나 구두쇠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혹시 지하철이나 버스가 아닌가 크게 걱정한다. 하지만 가게의 ... ...
뒤집힌 강아지와 젖먹이는 엄마 개
팝뉴스
l
2018.05.08
끈 것은 뒤집힌 강아지다. 몸이 뒤집혔는데도 포기를 하지 않는다. 네 발을 흔들면서
버티고
버틴다. ‘젖 먹던 힘’이 얼마나 절실하고 강한 것인지 보여주는 장면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곤충을 담다] 봄을 알리는 애호랑나비
2018.05.02
모습을 갖춘 애호랑나비(우)를 볼 수 있다.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추운 겨울 잘
버티고
이른 봄 가장 먼저 번데기를 깨고 날개 달고 나온(Emergence: 羽化) 애호랑나비를 만나면 꽃바람 타고 올 봄을 느낀다. 진달래 군락. 애호랑나비는 이때쯤10개월의 휴면을 마친다. -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강원 영동지역에 눈을 뿌린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국의 서쪽에는 큰 중국 대륙이
버티고
있다. 작은 서해가 있지만 이곳에서 생겨나는 눈구름은 동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서울 등 수도권이 일본 홋카이도나 도호쿠 지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눈이 적게 내리는 까닭이다. 서해와 ... ...
현관앞의 악어, 출근을 못한 이유
팝뉴스
l
2017.12.08
것이다. 직원들은 악어 덕분에 편안한 시간을 보냈을 듯하다. 대형 악어가 현관에
버티고
앉아 있었다고 한다. 움직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어른 뿐 아니라 아이들도 나갈 수 없었다. 다행히 사고는 없었다. 한참 후 악어가 자리를 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일 악어가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 ...
고양이와 쥐, 이해할 수 없는 상황
팝뉴스
l
2017.11.29
쥐가 구석에서 나오기를 기다라는 것일까. 쥐는 고양이가 바로 옆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버티고
있는 것일까. 상황이야 어떻건 고양이와 쥐가 만화 같은 장면을 연출한 것은 이채롭다. 많은 네티즌들은 먹고 먹히는 관계가 아니라 친구 사이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고양이와 쥐는 ... ...
뒷마당에서 표범이 영양을 사냥해 ‘깜짝’
팝뉴스
l
2017.11.14
보인다. 표범과 영양이다. 표범이 영양을 잡고 숨통을 끊으려 한다. 영양을 어떻게든
버티고
도망치려 하지만 힘이 부족하다. 사람이 아침 준비를 하는 동안, 표범도 그 옆에서 아침밥을 준비하고 먹기 시작했던 것이다. 뜻밖의 상황을 자기 집 뒷마당에서 목격한 사람은 놀랄 수밖에 없었다고 ... ...
산소 없이 후흡~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10.09
상황에서 실험쥐는 20초 만에 의식을 잃은 반면,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최대 18분을
버티고
기절했다. 곧바로 산소를 넣어주니 불과 몇 초 만에 의식을 회복했다. 이후 두더지쥐의 행동을 관찰했을 때 뇌 손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내용을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4월 21일자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