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기증
vertigo
스페셜
"
버티고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때일수록 나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하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이런 것들에 힘입어 여태껏
버티고
있지만 최근 한 가지 더 좋은 팁을 찾았다. 바로 “작은 자아”다. 비대한 자아는 비현실적인 기대들로 가득차 있는 탓에 작은 좌절에서 펑 소리를 내며 크게 터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내림 현상은 일상에서 쉽게 마주친다. 소나무 같은 침엽수의 잎은 겨울에도 얼지 않은 채
버티고
있는데 잎의 수액에 이온과 당분 등 용질의 농도가 높아 어는점 내림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물은 특이하게도 얼면 부피가 늘어나 생명체에게는 치명적이다. 용매에 용질이 섞여 있을 때 어는점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숙한 사랑의 토양은 '인내'
2022.11.26
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서로 참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강인한 사랑은
버티고
인내하는 마음을 토양으로 자란다는 것이다. 이렇게 사랑에는 달콤함 못지 않게 쓴 맛도 강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연인이나 배우자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좋은 감정 못지 않게 다양한 부적 감정을 함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최소한 7일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반면 세포골격을 형성하지 않으면 3일을 채 못
버티고
구조가 해체됐다. 진핵세포의 에너지 분자(ATP) 제조공장인 미토콘드리아는 포획된 박테리아가 세포내공생을 통해 진화(또는 퇴화)한 소기관이다. 연구자들은 이를 재현하기 위해 인공세포가 있는 용액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정도 선에서의 배려를 당연하게 여기는 환경보다는, 힘들어도 꾹 참고 혼자 어떻게든
버티고
그러다가 나가떨어지기라도 하면 패배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환경이 좀더 익숙한 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아는 선생님으로부터 “동료들의 존재 이유는 누군가 힘들어할 때 돕기 위함이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만 해도 3일이면 끝날 줄 알았는데, 우크라이나가 한 달 넘도록
버티고
있다. 사실상 러시아를 영구 집권하고 있는 푸틴의 광기에 경악한 사람들이 미국의 망명 제안을 뿌리친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 결사항전하고 있는 우크라이나를 응원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상온 초전도체 시대 열릴까
2021.09.01
못해 깨지면서 이 고체도 연기처럼 흩어져버린다는 게 문제다. 두 다이아몬드가 압력을
버티고
있는 사이 초전도체가 만들어졌다는 걸 전기저항 측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물론 이 자체만으로도 대단한 발견이지만, 이를 두고 상온 초전도체 시대로 가는 문이 열렸다고 말하기에는 ... ...
아델리 펭귄은 남극 위협하는 지구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등이 살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이원영 선임연구원은 “펭귄 일부가 변화에 적응하며
버티고
있지만 대다수는 급격한 변화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 연구’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놓여 있는 과학기술자들 대부분은 가짜학회에 참석하지 않으면서도 연구 현장에서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양적평가에 대한 연구현장의 불만을 귀담아 들을 여지가 있다. 왜냐하면 양적평가의 함정 때문에 현장 연구자 간에 실질적인 연구 결과물를 내기보다 지표만 달성하면 연구의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
2021.05.30
움직임도 있지만, 비용이 너무 비싸다. 끊임없는 인수 합병으로 거대한 조직을 만들어
버티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속 가능할지 의문이다. 앞으로는 막대한 보상 혹은 엄청난 처벌을 가할 수 있는 일부 조직을 제외하면, 개인의 협력을 강제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위계 서열에 기반한 기존의 협력적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