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위
별자리
성좌
포치
음운
어운
은하
뉴스
"
성운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피터팬 원반'은 다른 별과 떨어진 외로운 환경서 형성돼"
연합뉴스
l
2020.06.11
수 있다"고 했다. 피터팬 원반은 지난 2016년 지구에서 약 212광년 떨어진 용골자리
성운
의 4천500만년 된 적색왜성 AW10005x3s 주변에서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됐다. 그 이전까지 어린 별 주변에 형성되는 원반의 수명은 수백만년 정도이고 1천만년 이내에 사라져 행성들이 1천만년 이내에서 신속히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 이는 우리은하의 크기와 비교했을 때 너무 먼 거리였다. 이 사실은 곧 안드로메다가
성운
이 아닌 외부은하라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외부은하의 존재를 밝히며 허블은 일약 천문학계의 스타가 됐다. 그러나 허블의 연구는 멈추지 않고 계속됐다. 외부은하의 존재를 밝히고 10년도 지나지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동상은 ‘1억개 점으로 나타낸 우주의 삶과 죽음’을 출품한 이지수씨와 ‘사랑과 아기
성운
’을 출품한 김도익씨에게 돌아갔다. 이지수씨의 작품은 백조자리 수많은 별들의 탄생과 죽음을 표현하기 위해 백조자리와 주변을 9개의 패널로 나눠 모자이크 합성 처리한 사진이다. 동상 수상작 ... ...
"30년 전 지구 떨어진 운석서 첫 '외계 단백질' 발견"
연합뉴스
l
2020.03.03
질량수가 2인 수소 동위원소인 듀테륨 비율이 달랐으며, 태양계 가장 바깥에 있는 오르트
성운
에서 온 장주기 혜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석에서 발견된 단백질이 외계에서 온 것이며 약 46억년 전 원시 태양 원반에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 ...
[잠깐과학] 펄서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20
게
성운
중심의 펄서를 가시광선과 엑스선으로 관측하여 합성한 모습이다. Mysid/위키피디아 제공 1967년 11월 28일, 영국 케임브리지의 무라드 전파천문대에서 관측 중이던 대학원생 조슬린 벨 버넬은 여우자리 방향에서 특이한 전파 신호를 발견했습니다. 전파 신호가 약 1.34초마다 맥박치듯 오고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행성 이론인 ‘강착 이론’과 대비되는 결과다. 오히려 2000년대 초부터 제기된 가스
성운
등 작은 천천히 끌어들여 천천히 합쳐진다는 행성 형성 이론을 뒷받침하는 결과인 셈이다. 맥키논 교수는 “아로코스는 카이퍼 벨트 현지 재료와 함께 천천히 결합한 특징을 갖고 있다”며 “더 혼란스러운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번 나타나는 희대의 우주쇼다. 가장 최근 관측된 초신성은 1987년 대마젤란
성운
의 독거미
성운
근처에서 폭발한 초신성 ‘1987A’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 폭발은 1604년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관측한 ‘케플러 초신성’이다. 한국의 고천문학 사료 곳곳에도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하늘에는 은하수가 우윳빛깔로 흐르고 그 옆에는 마젤란
성운
한 쌍이 보인다. 마젤란
성운
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은하로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에두아르도 삼파이오/영국왕립학회 제공 동물행동 부문 준우승작인 '해파리 만남'. 포르투갈의 해양생태탐험가이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플레이아데스 성단, 목성의 위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은하수가 별들의 집합이고
성운
은 작은 별들의 무리라고 확인했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분량은 그리 많지 않은데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분량을 “메디치의 별”에 할애하고 있다.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을 합성하여 만든 사진. ... ...
쌍성계 형성 비밀 밝혀준 '프레첼' 모양 가스·먼지 원반
연합뉴스
l
2019.10.08
1'에 초점을 맞춰 관측했다. 바너드 59 적외선 이미지. 관측 대상이 된 원시 쌍성계는 짙은
성운
에 가려 이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유럽남방천문대 제공 연구팀은 쌍성 원반 안의 두 개의 작은 광원을 별을 둘러싼 먼지와 가스 원반으로 해석했다. 원시 별이 덩치를 키울 수 있는 물질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