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위
별자리
성좌
포치
음운
어운
은하
뉴스
"
성운
"(으)로 총 1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번 나타나는 희대의 우주쇼다. 가장 최근 관측된 초신성은 1987년 대마젤란
성운
의 독거미
성운
근처에서 폭발한 초신성 ‘1987A’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 폭발은 1604년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관측한 ‘케플러 초신성’이다. 한국의 고천문학 사료 곳곳에도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하늘에는 은하수가 우윳빛깔로 흐르고 그 옆에는 마젤란
성운
한 쌍이 보인다. 마젤란
성운
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은하로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에두아르도 삼파이오/영국왕립학회 제공 동물행동 부문 준우승작인 '해파리 만남'. 포르투갈의 해양생태탐험가이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플레이아데스 성단, 목성의 위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은하수가 별들의 집합이고
성운
은 작은 별들의 무리라고 확인했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분량은 그리 많지 않은데 거의 절반에 가까운 분량을 “메디치의 별”에 할애하고 있다. 목성과 갈릴레이 위성을 합성하여 만든 사진. ... ...
쌍성계 형성 비밀 밝혀준 '프레첼' 모양 가스·먼지 원반
연합뉴스
l
2019.10.08
1'에 초점을 맞춰 관측했다. 바너드 59 적외선 이미지. 관측 대상이 된 원시 쌍성계는 짙은
성운
에 가려 이 이미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유럽남방천문대 제공 연구팀은 쌍성 원반 안의 두 개의 작은 광원을 별을 둘러싼 먼지와 가스 원반으로 해석했다. 원시 별이 덩치를 키울 수 있는 물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데이터 가운데 세페이드 변광성은 7개뿐이었다. 허블은 나머지 은하의 가장 밝은 별이나
성운
의 데이터는 절대광도가 같다고 가정하고 겉보기등급으로 거리를 추정했다. 이런 불확실성에도 거리가 먼 천체일수록 후퇴하는 속도도 빨라지는 뚜렷한 패턴을 얻을 수 있었고 그래프에서 K=500이라는 값을 ... ...
별 관측 기술로 암세포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적외선을 감지해 체온을 측정한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 제공 천문학자들이 별과
성운
을 관측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엑서터대 연구팀은 별과 행성이 탄생하는 과정을 관측하는 기술을 이용해 유방암 피부암을 조기 진단하는 데 ... ...
"오무아무아는 인공물 아닌 우주의 자연적 산물"
연합뉴스
l
2019.07.02
방출은 없었다. 또 혜성 주변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먼지와 가스, 얼음 등으로 된
성운
(星雲) 모양물질인 코마(coma)도 발견되지 않았다. 천체 움직임이 소행성에서 기대할 수 있는 포물선 궤도를 따르지도 않아 소행성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외계 고등생명체가 태양계를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04.30
NASA)이 운용 중인 성층권적외선천문대(SOFIA)에 탑재된 고해상도 분광계의 자료를 분석해
성운
NGC7027의 끝자락에 존재하는 수소이온화헬륨의 존재를 확인했다. 데이비드 뉴펠드 존스홉킨스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반응성이 거의 없는 헬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는 독특한 현상을 직접 관찰한 만큼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 천문연 제공 김태양씨의 ‘플레이아데스 성단(M45)’도 은상을 받았다. M45 안에 있는
성운
들을 자세하게 표현했다. 하원훈 씨의 'Herschel 3 Catalog'. 천문연 제공 동상은 하원훈 씨의 ‘Herschel 3 Catalog’와 윤관우 씨의 ‘불꽃잔치’가 차지했다. Herschel 3 Catalog는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발견해 정리 및 ... ...
17일 밤하늘에 수백개의 별이 담긴 '여물통'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알았던 프레세페가 수십개의 반짝이는 별들로 나눠져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프레세페가
성운
에서 성단으로 정체를 바꾼 계기였다. 프레세페성단은 메시에 목록에 ‘M44’로 올라 있다. 메시에 목록은 별이 아닌 천체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작성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