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거
지난날
옛적
예전
태고
고대
왕년
뉴스
"
옛날
"(으)로 총 25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헨더슨(가운데)과 동료가 한 아이에게 천연두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WHO 제공
옛날
사람들이 완전 무방비로 천연두에 당하지만은 않았다. 경험적으로 인두법이라고 하는 예방법이 있었다. 천연두에 걸린 사람의 고름을 솜에 적셔 콧구멍에 넣는 장묘법, 고름이 생긴 아이의 속옷을 구해 건강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따라서 연주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움직인다는 결정적인 증거이다. 연주시차는 그
옛날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중심설을 제기했을 때부터 그 반대자들이 내세웠던 논리였다. 당시의 관측능력으로는 연주시차를 측정할 수 없었다. 사정은 천 년이 훨씬 지난 17세기의 갈릴레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장하(長夏)로 나눠 각각 화(火)와 토(土)에 대응시켰다. 그런데 요즘 장마철을 보내며
옛날
중국 사람들이 여름을 둘로 나눈 게 그렇게 억지스러운 것만도 아니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장마를 전후해 여름의 성격이 크게 바뀌기 때문이다. 오행의 화에 해당하는 초여름은 고온 하나이지만 토에 ... ...
수백마리 종이학과 분재의 만남
팝뉴스
l
2020.07.11
끝내 완성하지 못하고 644마리를 접은 후 세상을 떠났다고. 나오키는 말한다. “오랜
옛날
부터 일본인들은 자연을 숭배하고, 자연과 공존해야 한다고 믿어왔습니다. 제가 만든 나무는 자연의 상징으로서 자연에 깃든 영을 지니고 있습니다. 제 작품을 보는 이들이 이 영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은 절대 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들
2020.07.04
주장하는 사건들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편에서는 ‘인종차별은
옛날
일’이라거나 지금은 인종차별이 거의 없고 백인에 대한 ‘역차별’이 더 심하다고 생각하는 백인들이 늘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특권을 오래 누리다보면 평등이 억압 같이 느껴진다는 말이 있다. 자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五福)에는 치아 건강이 포함돼 있지 않다. 치아를 잃으면 음식을 제대로 먹을 수 없었던
옛날
치아 상태가 오복의 하나인 장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이 속담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치주염 같은 구강질환이 구강의 문제에 그치는 게 아니라 건강 전반에 악영향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드 부아보드랑이 섬아연석에서 분광기술을 이용한 결과였다. 부아보드랑은 이 원소에
옛날
프랑스지역의 이름이었던 갈리아에서 유래한 갈륨(Ga)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갈륨은 녹는점이 섭씨 30도보다 살짝 낮다. 그래서 사람 체온으로도 액체상태로 녹일 수 있다. 멘델레예프와 부아보드랑은 갈륨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의 비율이 성립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돌턴은 근대적인 원자론을 정립하게 된다. 그
옛날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와 레우키포스의 원자론과 완전히 같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어쨌든 무덤 속의 미라가 다시 태어는 데에 약 2,200년이 걸린 셈이다. 돌턴에 따르면 자연의 원소들은 더 이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때도 포기하지 말고 노력하자는 맥락에서 비유적으로 쓰이는 표현이지만, 틀니조차 없던
옛날
에는 말 그대로 이가 빠진 뒤에는 잇몸으로 씹어야 했다. 그러다 보니 먹는 게 부실해질 수밖에 없지만 그래도 잇몸 덕분에 제한된 음식이나마 씹을 수 있다는 게 어딘가. 물론 지금은 임플란트 덕분에 ... ...
[방구석 과학] 달고나 커피, 저을수록 찐득해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05.02
탄산수소나트륨(베이킹소다)을 약간 넣어 만드는 달고나 과자, 한 번쯤 먹어 보셨죠? (저
옛날
사람 인증인가요?) 하지만 과학적인 관점에서 달고나 커피와 달고나 과자의 차이는 분명합니다. 우선, 두 음식 모두 갈색빛을 띠지만 이런 갈색을 만들어낸 화학반응이 전혀 다릅니다. 달고나 커피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