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스페셜
"
가운데
"(으)로 총 142건 검색되었습니다.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볼 수 있는 첫번째 ‘COSMEX’ 전시회가 함께 열렸다. 대부분 태국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기업은 종우실업과 UNIPACK KOREA가 부스를 마련했다. KOITA TIP 코너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회원사에 제공하는 분야별 기술전문 지식서비스, 'Tech-Issue Paper' 중 참고할만한 콘텐츠를 선별하여 독자들이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평평한 바닥에 스키 플레이트를 높고 옆에서 바라보면 ‘캠버(camber)’라 불리는
가운데
부분이 약간 떠 있다. 사람이 플레이트 위에 올라서면 무게에 의해 캠버가 땅에 닿으면서 전체가 평평해져 미끄러짐이 극대화된다. 반면에 턴을 할 때는 몸과 다리를 한쪽으로 기울여 ‘에지(edge)’라 불리는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그림자는 동쪽을 향하여 점점 길어졌다. 결국 고대 인류는 그림자의 길이로 지금이 하루
가운데
에서 어느 때인지 짐작할 수 있었고, 이런 시간의 측정은 사냥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고대 인류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만든 시계는 해시계였다. 그들은 해시계 이외에도 물시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측정되는 뇌파의 종류도 다양하고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오랜 연구결과 과학자들은 이
가운데
대략 3가지 정도의 뇌파를 의사소통에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정상시유발전위(SSVEP)’라는 다소 복잡한 이름이 붙어 있는 뇌파다. 이 뇌파는 시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1920년대 독일 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졌을 때 뢴트겐은 거의 거지나 다름없는 궁핍한
가운데
생을 마감했다. 선의의 대가치고는 너무 가혹한 운명이었다.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바닥에 그려진 사각형의 어느 한쪽 변의 길이가 다른 한쪽 보다 길거나, 네 귀퉁이의 각
가운데
어느 한 각이 직각을 이루지 않는다면, 밑면은 정사각형이 되지 않아 결국 피라미드를 모두 쌓아 올리면 꼭대기가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가 피라미드의 밑에 있는 층에서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동아사이언스
l
2014.12.23
이번 협약은 산기협 김이환 상임부회장, 진흥원 강훈 원장 등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흥원 회의실에서 체결되었다. 이날 양 기관은 협약에 따라 ▲ 출연(연)·대학과 기업부설연구소 간 기술이전 활성화 ▲ 출연(연)·대학 기술 사업화 및 성과확산 ▲ 기업부설연구소 기술상담 및 기술설명회 ... ...
친환경 타운의 미래지향적 모델 제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19
개발하고 실증하면서 건물 단위에서 태양열과 지열을 융복합하는 기술을 확보한
가운데
, 이를 타운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진천‧음성 혁신도시의 친환경 에너지 타운은 하수처리장과 연계한 친환경 에너지 타운을 보급하고 확대하는 시범단지로서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융합해 ... ...
주택에서 타운까지 제로에너지!
동아사이언스
l
2014.12.17
들어봤다. 제로에너지 주택의 상용화 모델도 도전 “주택에서 사용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열에너지가 70% 이상을 차지하는데, 전기에너지 는 20% 내외를 차지합니다. 그래서 주거 건물에서 에너지를 자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열 부하를 관리하고 자립해야 합니다.” 백 박사팀은 1단계로 열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영향력 높은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한 연구자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후보자
가운데
해당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이나 연구 분야를 창시하고 후속 연구의 성과가 얼마나 우수한지 평가한다. 끝으로 후보자의 연구성과가 얼마나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류사회 발전에 얼마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