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스페셜
"
가운데
"(으)로 총 3,43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아슐리안 석기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게 에렉투스와의 경쟁에서 밀려 결국 멸종한 이유
가운데
하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아슐리안 석기 덕분에 에렉투스는 사냥 효율을 크게 높였을 것이고 파란트로푸스와의 싸움에서 무기의 우위를 차지했을 것이다. 파란트로푸스의 거대한 턱과 치아는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핵심 단서다. 암 진단과 치료에서 유전자를 아우르는 유전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정밀한 유전체 분석 기술인 ‘싱글셀’이 각광 받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 세포 뭉치 단위의 분석에서 한걸음 나아가 개별 세포 단위에서 유전자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서울대 의대에서 16년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바다 밑 퇴적층에 사는 미생물
가운데
메탄생성 고세균이 가라앉은 해조류 유기물을 분해할 때 나오는 메탄이 대기로 빠져나가면서 해조류 탄소 격리 효과의 3분의 1을 상쇄시킨다는 것이다. 절대량으로 보면 미미하지만, 메탄의 온실가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오른쪽은 각각 칼륨 이온과 나트륨 이온이 농도차에 따라 이동(확산)하게 하는 통로이고
가운데
는 두 이온이 농도를 거슬러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펌프다. 위키피디아 제공 반면 역시 다세포 생물임에도 식물에서는 여전히 나트륨이 별다른 존재감이 없다. 식물 대다수에서 나트륨은 생존에 필수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경우 전압을 걸었을 때 요오드 이온만 통과할 수 있는 음이온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을
가운데
두고 나트륨 이온만 통과할 수 있는 양이온(cation)교환막이 두 전극 쪽에 놓인 구조다(왼쪽). 전압이 걸리면 음이온교환막으로 나뉜 내부 공간의 한쪽은 이온이 빠져나가 어는점이 올라가며 용질 결정이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따르면, 지구온난화를 1.5℃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 허용 가능한 탄소배출량
가운데
이미 80%가 배출됐다(2020년 기준). 2030년 목표 배출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NDC를 상향하여 60~260억 CO2-eq톤을 추가로 감축해야 한다. IPCC 제6차 보고서(제3실무그룹 보고서)에서 평가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50년이 넘게 지나는 동안 엄청난 연구비를 투입하고도 큰 성과를 올리지 못한 배경
가운데
하나가 종양 내 미생물의 존재를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 생각하면 그 오랜 시간 그 많은 연구를 하면서 어떻게 이런 현상을 눈치채지 못했을까 의아하지만 ‘종양은 멸균상태’라는 막연한 생각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200만년 전 그린란드, 코끼리의 조상이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0
펼쳐진 초원에 코끼리와 토끼, 순록 등 다양한 동물들이 뛰노는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가운데
보이는 두 마리의 생명체는 코끼리가 아닌, 1만년 전 멸종한 코끼리의 먼 조상 마스토돈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연구팀은 고대 DNA를 분석해 200만년 전 그린란드 북부에 살았던 생태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바뀐 게 APOE2이다. 따라서 APOE2와 APOE4는 아미노산 두 곳이 다르다. 아미노산 299개
가운데
불과 한두 개가 다름에도 단백질 구조가 많이 바뀌어 활성에도 큰 차이를 보이고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이나 심혈관질환 등 여러 질병에 걸릴 위험성에 차이를 보인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법칙에 어긋하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는
가운데
새로운 법칙이 발견되고 과학이 발전한다. 그러나 의학에는 과학법칙에 바탕을 둔 생각으로 해결하지 못할 현상이 아주 많이 있으며, 그것이 의학의 특징이자 매력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