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본성"(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2018.08.05
-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의 영향과 부탁에 약한 본성을 지녔지만 위 실험의 예에서처럼 이를 잘 인식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각종 요구 또는 부탁이 가진 힘과 거절의 어려움을 얕보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르게 얘기하면 별 거 아닌 나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이른바 게놈 지연(Genome lag)이라 합니다. 우리 유전자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내집단 선호의 본성은, 이제 유효기간이 다한 진화적 잔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튼튼하게 만든 성이라 해도, 사람이 없어지면 곧 허물어진다. 그러나 아무리 허술한 길이라해도, 오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연구자들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남을 도움으로써 얻는 보상(뿌듯함, 기쁨 등)은 본성에 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어떤 상황에서든 남을 돕는 일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행복을 높여주는 일이라는 것이다. 남을 도움으로서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많았다는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많은 듯 보인다. ‘권력’이 사람을 바꾼다기보다 원래 본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할뿐이라고 보는 시각들이 있다. 평소에도 도덕적이지 않고 막무가내로 구는 사람이 높은 자리에 가면 갑자기 도덕적이게 될 확률보다는 더 많은 비리와 부정부패를 마구 저지를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마음이 들지 않겠는가? (중략) 이러한 예를 통해 측은지심은 인간이 본질적으로 지닌 본성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피해자의 평소 인성을 지적하는 등 적반하장으로 구는 경우를 목격하곤 한다.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의심까지 들게 하는 이런 현상들에 대해 한 가지 설명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어서 소개한다(Sullivan at al., 2012). 집단적 피해의식(Competitive victimhood)은 ‘우리 집단도 당한 게 많다!’ 라는 말 그대로 집단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2014.12.29
- 주어진 것이고 학습과 모방을 통해 얼마나 발전될 수 있는지 조사했다. 말러는 이런 본성과 양육 측면이 실은 ‘배우고자하는 본능’이라고 해석하며 이는 사람이 학습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즉 동물이라고 해서 먹이 같은 보상을 줄 때만 배우려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한편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2014.12.22
-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평생 논문과 책을 썼다. 사랑, 혐오, 이타주의 등 인간의 여러 본성도 효용을 최대화하려는 인간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게 그의 관점이었다. 제럴드 에델만 (1929. 7. 1 ~ 2014. 5. 17)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고 했던 면역학자 제럴드 에델만 ...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4.10.29
- 자연적으로 가정을 이루고 마을을 구성해 결국 국가라는 체계까지 만들어내니 인간의 본성이 사회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표현을 '소셜의 동물'이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농담이 오간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하는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2014.09.22
- 저서 ‘지식의 반감기’가 최근 번역됐다. 아브스만은 이 책에서 지식의 다이내믹한 본성을 고찰하고 있다. - 책읽는수요일 제공 책을 보면 의학지식의 붕괴 과정에 대한 예가 나오는데, 한 호주 연구팀의 결과에 따르면 외과 분야의 지식의 절반이 무효화되는데 45년이 걸린다고 한다. 환자들의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