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스페셜
"
속
"(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위해 가짜·유사 과학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 우리 언론의 부끄러운 현실이다. 그런 혼란
속
에서도 정범진 경희대 교수와 정용훈 KAIST 교수와 같은 원자력공학자의 용기 있는 소신과 노력을 주목한 것은 정말 다행한 일이었다. 정치권의 현실은 더욱 당혹스러웠다. 괴담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에는 ... ...
[사이언스게시판] 카오스재단, 일상
속
숨은 과학 지식 다룬 ‘과학자들의 방과 후 수다’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21일 공개한 첫 콘텐츠는 우주를 주제로 우주에서 노화가 가
속
되는 이유를 윤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함께 풀어냈다. 2편은 인공지능(AI)에게 노벨상을 수여할 수 있을까에 대해 토론한다. 3편부터는 음악과 여행, 비과학 등을 주제로 논의한다. ■ ... ...
[과기원NOW] DGIST, 세포 손상 막는 '채널' 작동 원리 밝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리 몸
속
세포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PAC채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PAC 채널은 세포 외부의 산성 환경에 반응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작용이 어떻게 세포에서 조절되는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있는 AgRP 뉴런에 작용하면 발화 문턱이 높아져 활성화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속
이 비어 먹을 때가 됐다는 신호가 와도 식욕 촉진 뉴런이 약하게 반응해 안 먹거나 덜 먹게 되는 것이다. 실제 RNA간섭으로 VEGFA를 덜 만들게 한 생쥐는 고온에 노출되고 먹이 섭취량이 덜 줄었고 VEGFA 분비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
2024.08.03
없는 부질없는 일들인 것처럼 안타깝지만 우리가 평소 개인적으로 또는 타인과의 관계
속
에서 관심을 쏟는 많은 것들 또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 때가 많다. 어떤 자극 또는 소재, 정보가 흥미롭다고 느끼는 것, 마음을 사로잡는 정도와 그것들의 진위나 중요성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특허를 청구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학자들이 X선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여 계
속
해서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뢴트겐은 이렇게 활용도 높은 발견을 해 놓고도 큰 경제적 혜택은 얻지 못했다. 단지 새로 생긴 노벨상 수상자가 됨으로써 상금을 챙겼을 뿐이다. ※ 참고문헌 Gerd Rosenbusch,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우주 먼지'인 동시에 하나의 '우주'
2024.07.20
생각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내가 고체라고 생각했던 나는 그냥 내가 내 머리
속
에서 만든 '나의 이미지'일 뿐 진짜 내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나는 정해진 생김새가 있고 겉으로 보여지는 객체가 아니라 내 눈 앞에서 일어난는 일들을 경험할 수 있는 내 경험의 주체임을 알게 되었다. 나는 아무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
속
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세레브럼처럼 소리의 방향을 알아차릴 수 있다고 예측했다. 앞으로 구체적으로 물
속
에서 소리가 날 때 어떤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바꾸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다. 한 연구에서 보건 교육자의 후
속
조치와 의사의 체계적인 상담이 표준 치료만 받은 대조군에 비해 주간 걷기 운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11%만이 지시된 식이요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방식 변화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기계가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로봇을 이용한 수술 방법도 그 발전
속
도가 아주 빨라졌다. 로봇에 장착된 기계는 외과 의사가 복부에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풍선처럼 부풀린 후 공간을 밝힐 수 있는 등 다양한 기술이 수술용 로봇에 장착되면서 수술방법도 개선되어 급성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