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명
유망
우수
현저함
인기
영광
고명
스페셜
"
저명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자가 트럼프와 싸워야 할 이유
2020.11.05
처음 있는 일이다. 이어 미국을 대표하는 과학잡지이자 영국의 네이처와 함께 가장
저명
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공개적으로 트럼프에 대한 정치적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특히 사이언스는 대선 하루 전날인 11월 2일 트럼프가 과학에 대해 저지른 유산을 정리하겠다고 예고했다. 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 생쥐와 사람 옵신의 파장대별 민감도 그래프다. 실험생물학저널 제공 19세기 프랑스의
저명
한 동물학자 폴 베르는 물벼룩을 대상으로 몇 가지 실험을 한 뒤 모든 동물은 사람과 같은 스펙트럼의 빛을 본다고 경솔하게 주장했다. 1881년 영국의 박물학자 존 러벅은 개미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 ...
[과학자의 서재]유명 과학자들이 추천하는 애장 도서 15선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철학의 토대가 된 플라톤의 공화국도 즐겨 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또 다른
저명
한 천체 물리학자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즐겨 읽었다고 했다. 그는 레딧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직접 “지구상의 다른 모든 생명체와의 친족 관계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복용해도 어느 정도 효과는 보겠지만 아쉬운 노릇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의
저명
한 노화학자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의 책 ‘노화의 종말’을 읽다가 무릎을 쳤다. 태국 같은 몇몇 나라에서는 메트포르민을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한 알에 몇 센트(몇십 원)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그가 관심을 가진 건 DNA가 아니라 RNA였다. 2006년 다우드나 교수는 이미 RNA 연구에서는
저명
한 학자로 이름을 알렸고, RNA 간섭 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냈다. 그런데 이런 RNA 연구가 결국 크리스퍼-캐스9으로 다우드나 교수를 이끌었다. 2006년 그는 UC버클리의 동료 미생물학자로부터 전화 한 ... ...
홍수처럼 쏟아지는 코로나19 논문, AI가 정확히 찾아줘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교수·앨런 AI 연구소 CEO) SK텔레콤이 10일 개최한 ‘ai.x2020’ 컨퍼런스에는 해외
저명
한 AI 전문가들이 AI를 이용해 개발 중인 기술들을 소개했다. 이날 컨퍼런스의 첫 세션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캐나다 밴쿠버, 미국 시애틀 등 전문가들이 있는 현지를 온라인으로 연결해 생중계로 진행됐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게다가 고드는 미국에서 가장 훌륭한 연구소에서 안정적인 연구원의 지위를 가진
저명
한 과학자였고, 생물학계에서는 외부인이었다. 데이호프처럼 서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경험이 없던 고드가 이 일에 바로 뛰어들 수 있었던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분야를 잘 몰랐기 때문이었던 셈이다. ... ...
AI는 인간과 더불어 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헤쳐나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함께 하는 경험(Human. Machine. Experience Together)’. SK텔레콤은 10일 이를 주제로 국내외
저명
한 인공지능(AI) 전문가들과 함께 AI를 활용해 현재와 미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ai.x2020’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컨퍼런스에서는 올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팬데믹(대유행) 상황에서 우리가 ... ...
언제 어디서든 비대면 연구협업 가능한 플랫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3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표준연은 버추얼랩이라는 비대면 연구그룹을 만들고 국내외
저명
한 전문가들과 언제 어디서나 협업할 수 있도록 영상회의 시스템 등 연구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버추얼랩은 가상이라는 뜻의 ‘버추얼’과 연구실을 의미하는 ‘랩’의 합성어다. 클라우드 등 자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선정 10대 과학성과’에 뽑히기에 이르렀다. 최근 ‘사이언스’나 ‘네이처’ 같은
저명
한 학술지에 거의 매달 논문이 나오고 있는 세포 내 상분리의 세계를 들여다보자. 올리브오일과 발사믹식초는 상분리를 통해 두 상으로 나뉘어 존재한다. 이게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